논문 상세보기

한·호 핵심 자원 협력 : 탄소중립기술, 핵심 광물 공급망, 농업 협력을 중심으로 KCI 등재

Korea-Australia Cooperation on Critical Resources : Carbon Neutrality, Critical Minerals and Agricultural Cooper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395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한국과 세계 (Korea and World Review)
한국국회학회 (Korea Society of Assembly Studies)
초록

이 연구는 한국과 호주 간 양자 협력 의제 중 자원 안보와 밀접한 관 련이 있는 탄소중립 기술 개발, 핵심 광물 공급망 그리고 농업 협력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탄소중립 기술과 핵심 광물 공급망 같은 경우 2021 년 양국의 포괄적 동반자 관계 수립 이후 급격하게 협력이 시작되었고 정부와 주요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이에 반해 농업 협력은 2014년 양국의 자유 무역 협정 이후 협력위원회가 단 한 차례밖에 열리 지 않았다. 농업 협력은 향후 식량안보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에 협력이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향후 자원확보 와 공급망 구축이 그 무엇보다 중요한 시기에 양국의 상황을 면밀하게 관찰하고 부족한 부분의 협력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는 노력이 매우 중요 하다.

This study focuses on three main agenda related to resource security — Carbon Neutrality, Critical Minerals and Agricultural cooperation. For the two previous agendas the two has paid significant attention for developing cooperation since the declaration of Korea-Australia Comprehensive Strategic Partnership in 2021. For agricultural cooperation they developed their cooperation rather more sluggish than carbon neutrality and critical minerals. However this agenda bears its significance since it is related to food security. Hence they should put more efforts by closely monitoring their cooperation processes and results since securing resources and establishing supply chains are important.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및 주요 개념
    1. 선행연구 고찰
    2. 국제협력 관련 이론: 구성주의의 주요 요소
    3. 호주의 광물공급 현황과 정책
Ⅲ. 한·호 핵심 원자재 협력
    1. 탄소 중립 기술 파트너십
    2. 핵심 광물 공급망 협력
    3. 농업 협력
IV. 결론 및 시사점
저자
  • 정세원(부경대학교) | Sae Won CHU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