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living environment of rural areas in South Korea in terms of quality of life and livability using keyword networks, and to suggest policy directions for improving the rural living environment. Currently, rural areas in South Korea face challenges such as population aging, population decline, decreased economic activity, and insufficient basic services. To address these issues, it is crucial to research ways to improve the rural living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research trends in overseas studies based on the concepts of quality of life and livability from a theoretical perspective. Additionally, a keyword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to assess the current status of the rural living environment in South Korea. Based on these findings, the theoretical research trends regarding quality of life and livability were analyzed and compared to the actual problems faced in the rural living environment in South Korea. The results propose four approache s to enhancing the rural living environment in South Korea: 1)establishing green spaces and ecological facilities, 2)improving the interaction between regions, individuals, and residents, 3)designing residential spaces with a focus on energy efficiency, and 4)setting comprehensive goals that encompass various aspects of the rural environment. By incorporating the concept of rural resilience, in addition to sustainabi lity, which is suggested as an improvement goal for rural areas in South Korea, it is expected that the recovery of rural functions will be positively influenced.
본 연구의 목적은 키워드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삶의 질과 거주성 측면에서 국내 농촌지역의 실제 생활 환경을 분석하고 농촌 생활환경의 개선을 위한 정책적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농 촌은 고령화, 인구감소, 경제활동 저하, 기초생활서비스 부족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 기 위한 농촌 생활환경 개선방안의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삶의 질(Quality of life)과 거주성(Livability)개념을 바탕으로 이론적 측면에서 국외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국내 농촌 생 활환경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삶의 질과 거주 성 측면에서의 이론적 연구 경향 분석을 통해 실제 우리나라 농촌 생활환경에 직면한 문제점을 분석하 였다. 그 결과 국내에서 농촌 생활환경 개선을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1)녹지 및 생태시설 조성, 2)지 역과 개인 및 주민 간 상호작용 개선, 3)에너지 효율을 고려한 주거공간 마련, 4)다양한 관점에서 농촌환 경을 포괄할 수 있는 목표 설정의 4가지 방안을 제안하였다. 국내 농촌의 개선 목표로 제시되고 있는 지속가능성과 더불어 농촌 회복력(Rural resilience)의 개념을 도입하면 농촌의 기능 회복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