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통합 산림자원 관리와 디지털 산림정보 구축 지원을 위한 유역 기반 표준산림관리단위의 설정과 활용 KCI 등재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Watershed-based Standard Forest Management Units for Integrated Forest Resource Management and Construction of Digital Forest Inform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547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지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한국지도학회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초록

효율적인 산림관리와 경영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일정한 공간단위를 가지는 산림의 구획(Zoning)이 정의되어야 한다. 현재 국유림은 임・소반 기준으로, 공・사유림은 필지 단위를 기준으로 공간을 구획하여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이원적인 공간구획체 계는 통일된 산림계획, 경영, 관리가 어려우며 장기적인 공간단위의 정보 구축과 생성, 관리에도 어려움을 끼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DEM(Digital Elevation Model) 기반으로 추출한 산줄기 유역을 소개하고 활용성 검토를 위해 현재 산림관리 단위인 임・소반도, 경영계획구, 산지/산림 관련 주제도와 중첩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표준산림관리단위의 대안으로 제안한 각 규모별 산림유역 단위의 공간적 적합성을 검토하고 산림관리, 산림 디지털 공간자료 구축 및 관리 등의 분야에서 산줄기 내포 유역 기반 표준산림관리단위의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For efficient forest management, forest zoning methods must be defined with a certain spatial unit. Currently, national forests are divided into compartment and sub-compartment, and public and private forests are divided into parcel units. This dual spatial division system is not efficient in terms of unified forest planning and management. It can also lead to difficulties in creating and managing spatial forest information in the long-term perspective. In this study, we introduced forest zoning system based on mountain ridge watersheds and conducted an overlapping analysis with the current forest zoning system such as compartment and sub-compartment, working plan area, and forest thematic maps for utilization. As a result, we examined the spatial suitability of each scale of forest watershed unit proposed as a standard forest management unit and proposed the utilization of mountain ridge watershed-based standard forest management units for forest management and forest digital spatial data construction.

목차
요약
Abstract
I. 서론
II. 유역 개념을 반영한 기 구축 산림 분야공간단위 및 지도 사례 분석
III. 표준산림관리단위로서의 산줄기내포유역 생성 및 활용방안 제안
    1. 규모별 산줄기 내포유역 생성
    2. 산지/산림 관련 공간단위와 산줄기 내포유역 비교
    3. 산줄기 내포유역 활용방안 제안
I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노영희(한국산지보전협회 산지정책연구센터 선임연구원) | Young-hee Roh (Research engineer, Korea Forest Conservation Association)
  • 민수희(한국산지보전협회 산지정책연구센터 책임연구원) | Su-hui Min (Senior research engineer, Korea Forest Conservation Association)
  • 홍성희(한국산지보전협회 산지정책연구센터 책임연구원) | Sung-hee Hong (Senior research engineer, Korea Forest Conservation Association)
  • 송정은(한국산지보전협회 산지정책연구센터 센터장) | Jung-eun Song (Managing director, Korea Forest Conservation Association)
  • 손학기(한국농촌경제연구원 산림정책연구부 선임연구위원) | Hak-gi Sohn (Principal research engineer,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 김종민(한국농촌경제연구원 산림정책연구부 연구원) | Jong-min Kim (Engineer,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