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내 미디어콘텐츠산업 지형의 변화와 전망 KCI 등재

Changes in the Landscape of OTT and Media Content Industry and Outlook for the Industr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599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100원
융합인문학 (Korean Journal of Converging Humanities)
한국인문사회질학회 (Korean Association on Humanities & Social Quality)
초록

현재 OTT 서비스는 매년 성장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2016년 넷플릭스(Netflix)의 등장 이후 웨이브, 티빙 등 국산 OTT 서비스들이 생겨나며 산업 생태계가 만들어졌다. 하지만 아직 성장하고 있는 매출에 비해서 대부분 OTT 서비스는 이익률이 높지 않고 적자인 상황이다. 유일하게 흑자인 기업은 넷플릭스뿐이다. OTT 서비스를 통해 미디어콘텐츠산업이 성장은 하고 있지만, 앞으로는 수익을 높여야 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OTT와 미디어콘텐츠산업이 어떻게 성장하고 연결되어 있는지를 OTT 서비스의 현황과 콘텐츠 유통 등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앞으로 미디어콘텐츠산업의 지형이 어떤 변화가 발생하는지 살펴보았다.

OTT services are growing every year. Since the emergence of Netflix in 2016, in Korea, local OTT services such as Wavve and TVing have emerged as well, creating an industrial ecosystem. However, despite their revenue growing, most OTT services do not have high profit margins and are in the red. Netflix is the only company that is in the black. Although the media content industry is growing through OTT services, it needs to find ways to increase profits in the future. The study analyzed how OTT and the media content industry are growing and connected through the current status of OTT services and content distribution. The study also looked at how the terrain of the media content industry would change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글로벌 콘텐츠 플랫폼과 미디어 산업
Ⅲ. OTT 산업의 현황 및 미디어콘텐츠 유통의 변화
    1. OTT 플랫폼별 산업적 현황
    2. 미디어콘텐츠 유통의 변화
Ⅳ. 미디어콘텐츠 환경 변화와 미디어콘텐츠산업
Ⅴ. 결론
저자
  • 송시형(국제사이버대학교 영상문화학부 부교수) | Song Shi-hyeong (Associate Professor, School of Visual Culture Gukje Cyber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