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아프리카 대륙의 교육변화 고찰 : 식민주의로 인한 교육체계 형성과 사교육 발생을 중심으로

Consideration of Educational Changes in the African Continent : Focusing on the Formation of an Educational System and the Occurrence of Private Tutoring Due to Colonialis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644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사교육연구 (The Journal of Private Tutoring Research)
한국사교육연구협의회 (The Korea Association of Private Tutoring Study)
초록

본 연구는 유럽 식민주의 영향으로 형성된 아프리카 교육체계를 분석하고, 사교육에 대한 수요 발생 과정을 분석하고 자 하였다. 우리나라는 공적개발원조(ODA)를 통해 아프리카에 대한 교육 지원을 한국의 개발경험 공유라는 기저를 근간 으로 확대해나가고 있다. 특히, COVID-19 펜데믹으로 인해 교육산업이 변화하고 에듀테크 산업이 성장하면서 교육에 대 한 지속적인 발전과 양질의 교육 욕구는 사교육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갖고 확장하고 있다. 이러한 아프리카 대륙의 교 육변화 이해는 아프리카 교육지원과 교육산업 해외시장 진출을 위해 선행되어야 한다. 이에, 아프리카 대륙의 교육변화 를 체계적 문헌연구 방법으로 통해 분석하여 고찰하였다. 한국의 사교육은 입시제도에 대응하는 처방적 차원에서 발생한 것이지만, 아프리카 대륙의 사교육은 교육의 질 저하로 인한 보완적 차원에서 발생하였다. 아프리카 대륙의 교육체계는 교육의 보편성과 형평성을 추구하고 있으나, 교육의 수월성을 지향하는 사교육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전반적인 교육의 효율성과 양질의 교육 접근성 향상을 높일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African education system formed by the influence of European colonialism and the process of generating demand for private education. Korea is expanding educational support for Africa through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on the basis of sharing Korea's development experience. In particular, as the education industry changes and the edu-tech industry grow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education and the desire for quality education are expanding very closely with private education. Understanding these educational changes on the African continent should precede African education support and advance into the overseas market of the education industry. Accordingly, educational changes in the African continent were analyzed and examined through a systematic literature research method. Private education in Korea occurred at a prescriptive level in response to th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but private education in the African continent occurred at a complementary level due to a decrease in the quality of education. The African continent's education system pursues universality and equity in education, but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tilize private education aimed at excellence in education to improve overall education efficiency and access to quality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아프리카 대륙의 교육체계
    1. 아프리카 식민주의 교육제도의 영향
    2. 독립 이후의 아프리카 대륙의 교육정책
    3. 아프리카 대륙의 공교육 현황
Ⅲ. 아프리카 대륙의 사교육
    1. 아프리카 대륙 사교육의 발생
    2. 아프리카 대륙의 사교육 유형
    3. 아프리카 대륙 사교육의 특징
Ⅳ. 결론 및 논의
저자
  • 전온리(경기대학교 진성애교양대학 교직부) | Only Jeon (Kyonggi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