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COVID-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를 경험한 대학생의 사회·정서적 고립감과 우울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Influence of social-emotial isolation and depression on smartphone addiction in college students experienced COVID-19 social distanc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764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본 연구는 COVID-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를 경험한 대학생의 사회·정서적 고립감, 우울, 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 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4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220명이며, 자료수집은 구글 폼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여 시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변수의 특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은 사회·정서적 고립감(r=.44, p<.001), 우울(r=.51,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성별(β =.176, p=.001), 주말 스마트폰 사용 시간 7-9시간(β=.387, p=.001), 10-12시간(β=.313, p=.006), 12시 간 이상(β=.299, p=<.001), 우울(β=.302, p<.001), 사회·정서적 고립감(β=.210, p=.004)이었다. 회귀모 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F=15.81, p<.001) 모형의 설명력은 43% (adj R2=.43, p<.001)였다. 따라 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기 위해 사회·정서적 고립감과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정신건강 증 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emotional isolation, depression, and smartphone addiction of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d social distancing caused by COVID-19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smartphone addiction of college students. Total of 220 students from four univers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y organizing a questionnaire in a Google form.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WIN 28.0. There were significantly correlation among smartphone addiction of college students, social-emotional isolation (r=.44, p<.001) and depression (r=.51, p<.001). The factors affecting smartphone addiction of college students were gender (β=.176, p=.001), weekend smartphone usage time 7-9 hours (β=.387, p=.001), 10-12 hours (β=.313, p=.006), 12 hours or more (β=.299, p=<.001), depression (β=.302, p<.001), and social-emotional isolation (β=.210, p=.004). The regression mod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15.81, p<.001).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43% (adj R2=.43, p<.001).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smartphone addiction of colleg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utilize a mental health promotion program that can reduce social-emotional isolation and depression.

목차
1. 서 론
    1.1. 연구 필요성
    1.2. 연구목적
2. 연구 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자
    2.3. 연구 도구
    2.4. 자료수집방법
    2.5. 자료 분석
3. 결과 및 고찰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일반적 특성에따른 스마트폰 중독 정도의 차이
    3.2. 대학생의 사회·정서적 고립감, 우울,스마트폰 중독 정도
    3.3. 대학생의 사회·정서적 고립감, 우울,스마트폰 중독 간의 관계
    3.4.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요인
4. 결 론
저자
  • 김윤희(목포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 Yun-Hee Kim (Department of Nursing, Mokpo National University)
  • 김남영(중원대학교 간호학과, 교수) | Nam Young Kim (Department of Nursing, Jungwo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