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저소득층 중년 여성의 골다공증 지식과 골다공증 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KCI 등재

Factors Influencing Knowledge and Prevention Behavior of Osteoporosis in Low-income Middle-aged Wome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765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본 연구는 저소득층 중년 여성의 골다공증 지식, 골다공증 예방행위의 상관관계 및 골다공증 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P시에 소재한 3개 종 합병원에 내원한 저소득층 중년 여성 317명이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21년 2월 1일부터 2022 년 12월 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대상자의 골다공증 지식은 11.97±6.89점으로 낮게 나타났고, 골다공증 예방 교육 및 골절 경험에서 차이를 보였다. 골다공증 예방행위는 41.03±7.63점으로 낮았고, 종교, 동반질환, 골다공증 예방 교육 및 골절 경험, 주관적 건강상태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골다공증 지식과 골다공증 예방행위는 통계적으로 유 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r=.527, p<.001), 골다공증 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골절 경험(β =.415, p<.001), 골다공증 예방 교육(β=.359, p<.001), 주관적 건강상태(β=.186, p<.001) 순으로 나타났 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저소득층 중년 여성의 골다공증 예방행위를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을 개발하고, 참여를 권장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등의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osteoporosis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osteoporosis preventive behaviors among low-income middle-aged women, and to determine the impact of these variables on osteoporosis preventive behaviors. The subjects were 317 middle-aged women from low-income who visited three general hospitals in P city,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February 1, 2021 to December 30, 2022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using SPSS/WIN 27.0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osteoporosis knowledge of the subjects was low at 11.97±6.89 points, which showed a difference in the case of osteoporosis prevention education, fracture experience. The osteoporosis prevention behavior was low at 41.03±7.63 points, which showed a difference according to religion, comorbidity, osteoporosis prevention education and fracture experience,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There was a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osteoporosis knowledge and osteoporosis prevention behavior(r=.527, p<.001), and the factors affecting osteoporosis prevention behavior were fracture experience(β=.415, p<.001), osteoporosis prevention education(β=.359, p<.001), and self-rated health(β=.186, p<.001).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hat can promote osteoporosis prevention behavior of middle-aged women in low-income and to prepare measures to encourage participation.

목차
1. 서 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
    2.3. 연구도구
    2.4. 자료수집
    2.5 자료분석방법
3. 결과 및 고찰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골다공증지식과 골다공증 예방행위 차이
    3.3. 대상자의 골다공증 지식, 골다공증 예방행위수행 정도
    3.4. 대상자의 골다공증 지식과 골다공증 예방행위 간 상관관계
    3.5. 대상자의 골다공증 예방행위에 영향을미치는 요인
    3.6. 고찰
4. 결 론
저자
  • 전은정(광주대학교 보건복지대학 간호학과, 교수) | Eun-Jeong Jeon (Professor, Department of Nursing, Gwangju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