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글은 1799년경 출판된 속서 속홍루몽의 서사적 특징을 살펴 그 의의에 대해 논 하고자 한다. 속홍루몽은 그동안 “황당무계”, “중하층문인의 기호” 등 부정적인 평 가 가운데, 소설 내용에 대한 연구는 적은 편이었다. 이에 본글은 그로테스크 개념을 통해 속서의 내용과 의의에 대한 재검토를 시도했다. 속홍루몽은 대관원에서 비롯 되는 우아하고 세련된 사건과 통속적이고 자극적인 사건을 동시에 배치하여 ‘정상’과 ‘비정상’, ‘윤리’와 ‘비윤리’적인 상황을 비교하였으며, 속서의 인물들은 신체가 훼손당 하거나 배설 행위를 통해 성격이 바뀌고 새로운 생명을 얻는다. 즉, 속서의 기괴한 서 사는 의도적으로 배치된 정황이 있으며 일정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그로테스크 미학이 지향하는 새로운 생명력을 낳는 효과와 유사한 부분이 있다. 속홍루몽은 원 소설 홍루몽의 주제와는 다소 다른 성격의 글이지만, 속서의 저자는 저술 단계에서 원소설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구상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 속 홍루몽의 인쇄와 그로테스크 서사는 19세기의 청대 문화자본이 실패할 가능성이 높 지만 성공한다면 시장을 좌우할 수 있는 저술 기획을 시도했다는 사례이다.
This article delves into the intricacies of the sequel Xuhongloumeng, which emerged around 1799 amid negative evaluations such as being deemed “preposterous” or attributed to “mid-lower class” writers. Despite these criticisms, the sequel’s content has received scant attention. To shed new light on the novel’s significance, this article employs M. Bakhtin’s theory of “grotesque realism” as a powerful lens. By unraveling the captivating web of Xuhongloumeng’s “grotesque” narrative, it seeks to explore its unique ability to “purify” chi-qing(癡情) while simultaneously depicting the multi-faceted layers of class, morality, and religion that characterized the Qing dynasty. Rather than being confined to the stereotypes of “mid-lower class” preferences, the vulgar scenes within the sequel are revealed as carefully constructed settings, showcasing the author’s mastery of fantastic realism. Ultimately, Xuhongloumeng emerges with a distinct thematic essence from its predecessor, Hongloumeng, offering readers an alternative reading method that celebrates the profound significance of chi-qing(癡情) at all societal lev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