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글은 1799년경 출판된 속서 속홍루몽의 서사적 특징을 살펴 그 의의에 대해 논 하고자 한다. 속홍루몽은 그동안 “황당무계”, “중하층문인의 기호” 등 부정적인 평 가 가운데, 소설 내용에 대한 연구는 적은 편이었다. 이에 본글은 그로테스크 개념을 통해 속서의 내용과 의의에 대한 재검토를 시도했다. 속홍루몽은 대관원에서 비롯 되는 우아하고 세련된 사건과 통속적이고 자극적인 사건을 동시에 배치하여 ‘정상’과 ‘비정상’, ‘윤리’와 ‘비윤리’적인 상황을 비교하였으며, 속서의 인물들은 신체가 훼손당 하거나 배설 행위를 통해 성격이 바뀌고 새로운 생명을 얻는다. 즉, 속서의 기괴한 서 사는 의도적으로 배치된 정황이 있으며 일정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그로테스크 미학이 지향하는 새로운 생명력을 낳는 효과와 유사한 부분이 있다. 속홍루몽은 원 소설 홍루몽의 주제와는 다소 다른 성격의 글이지만, 속서의 저자는 저술 단계에서 원소설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구상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 속 홍루몽의 인쇄와 그로테스크 서사는 19세기의 청대 문화자본이 실패할 가능성이 높 지만 성공한다면 시장을 좌우할 수 있는 저술 기획을 시도했다는 사례이다.
        5,400원
        2.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힌데미트의 그로테스크가 도드라지는 초기 기악곡 ≪우스꽝스러운 신포니에타≫ op. 4와 ≪한 밤 중에 ... 꿈과 체험≫ op. 15에 주목하면서 유럽 문예사에서 구축되어온 그로테 스크의 개념, 내용, 미학의 맥락 안에 힌데미트의 그로테스크를 놓아본다. 힌데미트는 그가 당면한 낭만주의 음악의 전통, 질서, 윤리, 표현 방식을 풍자하면서 그것들의 무의미와 무가치를 드러내는 작업에서 그로테스크를 요긴한 도구로 쓴다. 거센 반음계와 불협화음, 혼란의 박절과 리듬, 피아노 의 타악기화 등을 통해 낭만주의 음악을 과장, 왜곡하며 일그러뜨린다. 이것은 기존 질서에 대한 부정 및 거부라는 그로테스크의 본질적인 의도를 담아내면서 강렬한 긴장, 당혹, 생경, 섬뜩의 인 상을 불러일으킨다. 힌데미트는 반낭만주의적 그로테스크의 악곡들 사이에 재즈 춤곡을 위치시켜 본질과 태생이 다른 형상들의 혼합이라는 그로테스크의 고전적 어법을 다루기도 한다. 표현주의 시와 엮어 교향곡 중심부의 구조 체계를 허물어버리기도 한다. 이때 고대부터 르네상스, 바로크를 거쳐 19-20세기까지 주요하게 쓰인 그로테스크의 수법과 어법들이 곳곳에서 읽힌다. 힌데미트의 창작을 넘어 음악예술이 더 큰 문예사적 맥락 안에 놓이게 되는 지점이 형성되는 순간들이다.
        7,700원
        3.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body is an important object of costume expression, and the reflection of the aesthetics of the body according to age, culture, individual or group determines the form of the costume. In particular, British artist Leigh Bowery provided many designers and celebrities with original design ideas. Leigh Bowery’s costumes are related to the carnival concept. Thus, this study analyzed Leigh Bowery’s life and works, and examined Michael Bakhtin’s grotesque carnivalesque theory. Based on Bakhtin’s carnival theory around 100 works by Leigh Bowery, in the form of YouTube videos and DVD clip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Leigh Bowery’s body and costum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an define fetishism as a characteristic of costumes such as body suits, harnesses, high-heeled boots, and stockings, that stress the body. Second, the character of the body is not expressed as that of an idealized body, but the fat and ugly aspect are revealed. Third, Leigh Bowery’s costumes are characterized by ambiguity. The costumes blur the boundaries between women and men. Fourth, common sense, combined with normal and bizarre, brings out a strong sense of carnival humor with ridiculousness arising from the gap between reality and reality. His performance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victims of discrimination or unequal treatment in sexual, racial, and age-related situations. This study should inspire many designers through the study of Leigh Bowery’s body expression and dress, but it also introduces fashion icons that are not well known in Korea.
        4,500원
        4.
        200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nce the end of 1960s, an era of internationalization, Interculturalism has been reflected in intercultural plays which borrow concepts of foreign-cultural aesthetics for the performance and create a new stage language. Among many writers and performers, Oh, Tae-seok created his own unique aesthetic performances through experimental and avant-garde methodologies connected with various areas of art. His plays are worth studying since they suggest us a point of view which helps us to get out of the ordinary, fixed thought and try to see variety of reality. Therefore, our study categorized Oh, Tae-seok’s play into four areas according to grotesquery interculturalism : Evil sprit, Abhorrence, Exaggeration and distort, and Heterogeneity. Based on this category, we analyzed plastic artistic characteristics of his plays’ stage costume, for example, shapes, materials, and color, and tried to enhance the aesthetic value of his plays. We made a conclusion that the play showed grotesquery features in stage costume, which represented death, tragedy, evil sprit of human negligence, surprising and grotesquery abhorrence by deformity of the body, exaggeration and distortion, ridiculousness, and heterogeneity, the mixture of abnormality and unstableness. Our study could help produce adequate stage costume matching the features of the performance, and be the cornerstone of grotesquery aesthetic interculturalism study reflected in stage costume.
        4,9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