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flexible work system and organizational satisfaction in public sector :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and age KCI 등재

유연근무제 만족도와 조직만족도 간의 관계 : 성별과 연령의 조절효과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32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0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유연근무제 관련 공무원 인식조사를 활용하여 다음 두 가지의 주요 목적 을 위한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첫째, 유연근무제 활용 만족도 수준과 조직 만족도 수준 간의 영향 관계를 정량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둘째, 유연근무제 활용 만족도와 조직만족도 수준 간의 영향 관계에서 공무원의 성별과 연령이 갖는 조절효 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과 가설 검증을 위해 우리나라 D 자치단체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응답자 공무원의 소속은 D 자치단체 본 청, 직속기관, 산하기관, 사업소 등이 포함되었으며, 정규직 신분의 지방직 공무원이 다. 기초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과 더불어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위해 회귀분석을 수 행하였다. 분석 결과, 유연근무제 활용 만족도 수준과 조직만족도 수준 간은 통계적 으로 유의미한 양의 관계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또한, 공무원의 성별과 연령대 변수 모두 유연근무제 활용 만족도 수준과 조직만족도 간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조절하는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특히, 성별과 유연근무제 활용 만족도의 상호작용항과 연 령대와 유연근무제 활용 만족도의 상호작용항의 회귀계수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 미하게 나타난 점은 정부조직의 유연근무제 활용과 정책 집행에 있어 중요한 시사점 이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서 지금까지 유연근무제 활용 여부 자체에 대한 효 과 검증에 치우쳐 있던 국내 공공기관 대상 유연근무제 연구의 이론적 확장이 이루어 지길 기대한다. 유연근무제 이용 여부 자체에서 벗어나 유연근무제 활용 만족도 수준 이 여러 다양한 조직결과변수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국내 공공부문 유연 근무제 연구는 더욱 더 다양하고 심도있게 추진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아울러, 정부조직에서의 유연근무제의 보다 합리적인 정착과 적극적인 활용이라는 실무적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통계분석 결과가 이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tends to perform statistical analysis for the following two main purposes. First, it is to quantitatively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flexible working hours and the level of organizational satisfaction. Second, it is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gender and age of public official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the use of flexible working hours and the level of organizational satisfac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test the hypothesi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public officials of D local government in Korea. In addition to basic statistical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test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verifi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use of flexible working hours and the level of organizational satisfaction. In addition, it was verified that both the gender and age variables of public serva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f regul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flexible working hours and organizational satisfaction. In particular, the fact that the regression coefficients of the interaction term between gender and satisfaction with the use of flexible work systems and the interaction term between age and satisfaction with use of flexible work systems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was judged to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use of flexible work systems and policy implementation in government organization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Ⅲ. Research Methodology
    1. Research hypothesis
    2. Analysis target
    3. Measurement of variables
Ⅳ. Statistical Results
Ⅴ. Conclusion & Discussion

저자
  • Yongjin Sa(Keimyung University) | 사용진 (계명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