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선박 내 구조호흡 장비 활용 개선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Utilization Improvement of Resuscitation Equipment on Board Ship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46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선박에서 호흡성 심정지가 발생하거나, 장시간 심폐소생술을 하는 경우, 가슴압박소생술이 아닌 구조호흡을 동반한 심폐소생 술이 요구된다. 이에 선박은 산소 공급을 위한 구조호흡 장비를 보유하고 선원들은 이를 사용할 수 있는 해기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본 연구는 선박 내 구조호흡 장비 활용을 높이기 위하여, 선박의 구조호흡 장비 설치 현황과 선원의 사용의향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 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2023년 2월 2일부터 4월 21일까지 진행하였으며, 총 34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카이제곱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직책에서 항해사와 선장, 근무부서에서 갑판부, 항해구역 에서 외항선 선원이 선박에서 구조호흡 장비를 많이 확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선원의 구조호흡 장비에 사용의향은 낮았고, 주요 저해요 인은 사용방법을 모르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직책이 항해사, 선장, 근무부서는 갑판부, 항해구역은 외항, 총톤수 2만 톤 이상인 경우, 구조호흡 장비에 대해 사용의향이 높았다. 그리고 구조호흡의 필요성을 알고, 실습과 장비 교육을 받은 선원이 구조호흡 장비 사용에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모든 선박이 구조호흡 장비를 갖출 수 있도록 제도 마련이 되어야 하고, 선박 내에서 구 조호흡 장비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환경조성이 필요하다. 또한 구조호흡 장비에 대한 실습과 장비 교육 기반의 교육체계를 구축하여 선원이 해기능력을 갖추도록 해야 한다.

If respiratory arrest occurs 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is performed for a long period on board ships, CPR with rescue breathing (not compression-only CPR) is required. Accordingly, ships must have resuscitation equipment for oxygen supply, and seafarers must have the maritime competence to use i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placement status of resuscitation equipment on ships and seafarers' intention to use them in order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resuscitation equipment on board ships and propose improvement measures.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2, 2023, to April 21, 2023, and a total of 340 seafarers were surveyed.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and chi-square test using SPSS WIN 23.0.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hecking of resuscitation equipment was high among seafarers in the positions of officer, captain, deck department personnel, and ocean-going personnel. The intention of seafarers to use resuscitation equipment was low, and the main barrier was the lack of knowledge on how to use.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articipants, those whose rank was that of officer or captain, whose working department was the deck, voyage who were ocean-going, and who managed a gross tonnage of 20,000 tons or more had a high intention to use resuscitation equipment. Participants who knew the necessity of rescue breathing and had received practice and equipment-based training were active in using resuscitation equipment. Therefore, a system should be developed so that all ships can be equipped with resuscitation equipment, and an environment must be created to increase accessibility to resuscitation equipment on board ships. In addition, an education system based on practical and resuscitation equipment training must be established to ensure that seafarers have maritime competence.

목차
1. 서 론
2. 연구 방법
    2.1 연구 기간 및 연구 대상
    2.2 설문지 구성 및 내용
    2.3 자료 분석
3. 연구 결과
    3.1 선박에서 확인된 구조호흡 장비
    3.2 일반적 특성에 따른 백마스크 확인 분석
    3.3 구조호흡 장비 사용의향과 저해요인
    3.4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조호흡 장비 사용의향 분석
    3.5 구조호흡 교육훈련 현황에 따른 구조호흡 장비 사용의향분석
4. 결 론
References
저자
  • 황정희(한국해양수산연수원 교관) | Jeong-Hee Hwang (Instructor, Korea Institute of Maritime and Fisheries Technology, Busan 49111, Republic of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