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고령 임금근로장애인의 직무만족도가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노후준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KCI 등재

The Effects of Job Satisfaction on Daily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and Older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Effect of Preparation for Old Age :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Moderated Mediat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49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융합인문학 (Korean Journal of Converging Humanities)
초록

본 연구는 중고령 임금근로 장애인의 직무만족도와 일상생활만족도 간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와 노후준 비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2021년의 장애인 고용패널 2차 웨이브 6차조 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45세 이상 중고령 임금근로 장애인 806명이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중고령 임금근로 장애인의 직무만 족도는 일상생활만족도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직무만족 도와 일상생활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만족도와 일상생활만족도 의 간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노후준비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고령 임금근로 장애인의 직무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을 증진하고 일상생활만족도 향상과 노후준비를 위한 사회복 지 정책과 실천적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preparation for old age along with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daily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and older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the study used data from the 2nd Wave in 6th Panel Survey of the 2021 Employment for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PSED) and perform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mediating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analysis, using the data of 806 middle-aged or older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job satisfaction of middle-aged and older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daily life satisfaction. Second, it showed that self-efficac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daily life satisfaction. Third, the indirect effect of job satisfaction through self-efficacy on the daily life satisfaction was moderated by preparation for old age.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way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among middle-aged and older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while improving their daily life satisfaction, preparing social welfare policies and practical plan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중고령 임금근로 장애인의 직무만족도와 일상생활만족도와의 관계
    2.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3. 노후준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Ⅲ. 연구 방법
    1. 연구모형
    2. 연구 대상
    3. 주요 변수의 측정방법
    4. 자료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 주요변수의 상관관계분석
    3.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4. 노후준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최순례(에듀윌 원격사회교육원 운영교수) | Choi Soon-lye (Lead and Corr. Auth. / Professor, Cyber Continuing Education Center of EDUWILL) Corresponding author
  • 박은주(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박사 수료) | Park Eun-ju (Social Welfare, Kangnam University Doctoral candid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