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화농성 척추추간판염 환자에서 발생한 비결석성 출혈성 담낭염 1예 KCI 등재 SCOPUS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64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췌담도학회지 (Korean Journal of Pancreas and Biliary Tract)
대한췌장담도학회(구 대한췌담도학회) (Korea PancreatoBiliary Association)
초록

출혈성 담낭염은 담낭염의 형태 중 드문 것으로, 특히 그동안 출혈성 무결석 담낭염에 대한 보고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본 증례보고에서는 척추추간판염으로 입원 중인 환자에게서 간기능 검사의 이상 소견이 발생하여 시행한 현장초음파상에서 보인 이상 소견을 기반으로 출혈성 담낭염을 의심하였다. 환자는 문헌상 초음파상에서 출혈성 담낭염의 특징으로 제시된 담낭벽의 불규칙한 비후, 후방 음영이나 층적을 동반하지 않는 내강 안 에코의 소견 등을 만족하였으며, 이어서 촬영한 CT에서도 조영제 누출의 소견이 보여 혈역학적으로 안정된 상태에서 조기에 경피적 배액술과 후속 담낭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절제된 검체에서는 혈괴와 함께 화농성 담낭염 소견이 확인되었다. 기존에 항혈소판제, 항응고제 등의 약제 복용이나 알려진 출혈 경향이 없었던 화농성 척추추간판염 환자에게서 출혈성 무결석 담낭염을 현장초음파로 합병증 발생 전에 진단하여 치료한 증례로서 보고하는 바이다.

Hemorrhagic cholecystitis (HC) is a rare form of cholecystitis that may be caused by the progression of either calculous or acalculous cholecystitis, which has been reported sporadically as case reports. Acalculous cholecystitis is often diagnosed late and can be fulminant. HC without gallstones also can have a poor prognosis and be linked to a high mortality rate. Therefore, early detection, hemodynamic monitoring, and prompt treatment are essential to treat bleeding in cholecystitis. We report a case of hemorrhagic acalculous cholecystitis discovered during the examination and point-of-care ultrasound in a patient with pyogenic spondylodiscitis. The patient was referred with a chief complaint of liver dysfunction without bleeding tendencies or risk factors. Ultrasound revealed focal gallbladder wall irregularity, intraluminal membranes, and non-shadowing non-layering intraluminal echoes. Extravascular contrast leakage was exhibited on the computed tomography scan. The patient underwent emergency percutaneous drainage and subsequent cholecystectomy before developing major complications.

목차
INTRODUCTION
CASE
DISCUSSION
요 약
저자
  • 박명순(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동산병원 소화기내과학교실) | Myeongsoon Park (Division of Gastroenter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eimyung University Dongsan Hospital, Keimyu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Daegu)
  • 김지윤(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동산병원 소화기내과학교실) | Jiyoun Kim (Division of Gastroenter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eimyung University Dongsan Hospital, Keimyu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Daegu)
  • 사공민(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동산병원 소화기내과학교실) | Min Sagong (Division of Gastroenter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eimyung University Dongsan Hospital, Keimyu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Daegu)
  • 이강국(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동산병원 소화기내과학교실) | Kangkook Lee (Division of Gastroenter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eimyung University Dongsan Hospital, Keimyu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Daegu)
  • 이지연(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동산병원 감염내과학교실) | Ji Yeon Lee (Division of Infectious Diseas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eimyung University Dongsan Hospital, Keimyu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Daegu, Korea)
  • 조광범(계명대학교 의과대학 동산병원 소화기내과학교실) | Kwang Bum Cho (Division of Gastroenter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eimyung University Dongsan Hospital, Keimyung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Daegu)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