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동해와 서해의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 회유 및 분포에 관한 고찰 KCI 등재

Review of Migration and Distribution of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in the East Sea and the Yellow S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990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Journal of Marine Life Science)
(사)한국해양생명과학회 (The Korea Society of Marine Life Science)
초록

본 리뷰는 한국의 중요한 수산자원인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의 동해와 서해 어획량 변동 원인을 살오징어 난/자치어 수송부터 회유경로 및 어장 분포에 관점으로 논의하였다. 우리나라 살오징어 어획량은 1980년 이후 기후체제전환에 따라 변화가 있어 왔으며 이는 동해와 서해의 어획량 변동 경향이 달랐다. PDO (Pacific Decadal Oscillation)는 동해로 유입되는 난류 수송량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데 PDO가 양의 위상이었던 1980s에는 서해에서는 어획량이 많았고 동해 에서는 어획량이 적었다. 반면, PDO가 음의 위상이었던 1990s년대에는 동해 어획량이 많고 서 해에서는 적었다. 이는 살오징어가 난류를 따라 북상하거나 난류를 거슬러 남하회유를 하는 생활사에 기인된다. 동해의 경우, 난류가 강(약)할 때, 난류경로가 한국의 동해 연안 쪽(동해 중 부 해역 및 일본 연안 쪽)으로 치우치게 되는데 이는 PDO가 양의 위상이었던 1980년대에 어 장이 울릉도 동편에 위치하였던 반면 PDO가 음의 위상이었던 1990년대에 어장이 동해 연안 에 위치한 것과 관련있다. 서해 살오징어 어획량이 증가한 1980년대에는 동해로 유입되는 난 류수 수송량이 감소한 반면 서해로 유입되는 난류수는 증가하였으며 이는 서해로 수송되는 유 생의 양을 증가시키는 주요 원인이 된다.

This review paper discussed the decadal fluctuations in the catch of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T. pacificus) by focusing on migration and distribution patterns. Since 1980s, changes in T. pacificus catches were due to climate regime shift in Korean waters. Fluctuation patterns of catches were different between the East Sea and the Yellow Sea. Generally PDO (Pacific Decadal Oscillation) phase show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trength of warm current to the East Sea. In 1980s when PDO was positive phase (+), T. pacificus catch was higher in the Yellow, but it was lower in the East Sea. In 1990s when PDO was negative phase (-), T. pacificus catch showed opposite trend compared with 1980s. Such spatial and decadal fluctuations of T. pacificus catch were due to its northward migration along with the warm current or southward movement against the current. In the East Sea, strong (weak) warm current period, the current path has been shifted toward the East Sea coast of Korea (central East Sea or the coast of Japan). It has a correlation with PDO. In the positive PDO phase (1980s), the fishing ground was located on the eastern side of Ulleungdo, whereas during negative PDO phase (1990s), they were situated near the south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1980s, volume transport passing into the Yellow Sea increased, whereas volume transport in the East Sea decreased. This is one of major reason increasing T. pacificus larvae in the Yellow Sea.

목차
서 론
회유 및 분포
결 론
저자
  • 김윤하(강릉원주대학교 해양자원육성학과) | Yoon Ha Kim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Gangneung 25457, Korea)
  • 정해근(강릉원주대학교 해양자원육성학과) | Hae Kun Jung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Gangneung 25457, Korea)
  • 오승용(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생물자원연구단) | Sung-Yong Oh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Busan 49111, Korea)
  • 김현우(부경대학교 자원생물학과) | Hyun Woo Kim (Pukyung National University, Busan 48513, Korea)
  • 이충일(강릉원주대학교 해양자원육성학과) | Chung Il Lee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Gangneung 25457,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