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유목문명에서의 도시, 건축 및 장인

遊牧文明における都市、建築と工匠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176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한국건축역사학회 (Korean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History)
초록

2000년 이상 전에 사마천이 쓴 『사기(史記)』에 등장하는 흉노부터 13세기에 칭기스 칸이 창설한 몽골 제국, 그리고 손자 쿠빌라이 칸이 만든 세운 대원 올스(원조, 元朝)를 거쳐 오늘날까지 몽골 고원은 계속 유목사회였다 . 세계유산에 등록되어 있는 유명한 만리장성은 사실 농경문명과 유목문명의 지리적, 문화적 경계선이기도 하다. 본 논문은 몽골 고원 즉 현재의 몽골과 중국의 내몽골 자치구를 대상지로 하여 유목문명에서 성장한 도시와 건축 및 장인에 대해 설명한다. 몽골 고원의 초원지대에서는 식물이 뿌리내릴 수 있는 토양층은 30cm 정도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 아래는 모래층, 점토층으로 나뉘어져 있다. 토양층이 얕기 때문에 작은 구멍이라도 파면 풀로 굳어진 토양층이 노출되면서 바람에 날아가고 이듬 해에는 사막화된다. 즉, 농업을 하기에 적합하지 않은 토지인 것이다. 이러한 초원지대의 지리적, 환경적인 조건에 적합한 방목이 생업의 근간이 되고 있다. 그러나 가족의 50배, 혹은 100배 이상의 가축들과 함께 생활하는 이 생산방식으로는 계속 한 곳에서 방목할 경우 환경에 미치는 부하가 커지기 때문에 장소를 옮겨가면서 생활하는 ‘유목’이라고 하는 생활 양식이 성립했다. 유목사회와 농경사회의 토지소유에 관한 결정적인 차이는 유목사회에서는 토지에 대한 개인의 소유권이 없다는 것이다. 한 곳에서 일정기간 생활하고 다음 장소로 이동하는 생활 양식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생활 양식에 맞게 이동할 수 있는 건물 게르(중국어로는 '몽고포(蒙古包)'라고 부른다)가 탄생해 수천년의 진화를 거쳐 현대에 계승되었고 계속해서 변용해가고 있다. 즉, 토지를 '공유'하는 사회시스템에 기반해 이동을 전제로 하는 방목에 의한 생산방식과 생활양식의 니즈로 인해 토지에 속박되지 않는 도시, 건축시스템이 만들어졌다. 이러한 유목사회에는 전통적인 생산기술과 생활양식이 축적되어 있으며 그 기술과 문화는 국가와 지역의 경계를 넘어 널리 보급, 응용되어 유목문명을 구성하고 있다. 인류 역사 속에서 농경문명이 해양문명이나 유목문명보다 압도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음은 틀림없을 것이다. 그러나 근대 이후에는 해양 문명이 각광을 받고, 최근에는 정보 기술의 발전에 따라 네트워크 사회가 형성되어 주거와 직장 모두 정해진 장소에 고정하지 않아도 되는 시대가 되었다. 따라서 유목문명에 의해 만들어진 토지에 속박되지 않고 도시와 건축을 만들어내는 지혜는 현대사회에서도 유익하다. 또한 유목사회에서는 일상생활을 항상 이동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소지품을 최소화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그러므로 중국 내지, 일본과 한국처럼 근세 이후 장인에게 전문 도구가 계속 늘어나는 것과 달리 유목민의 장인은 어떻게 도구를 늘리지 않아도 제조를 할 수 있는지에 최선을 다했다. 동시에 13세기 이후에는 이동건축양식의 시스템화가 진행되었다.

2000 年以上前に司馬遷が書いた『史記』の中に登場する匈奴から、13 世紀にチンギスハーンが創設したモ ンゴル帝国、そして孫のクビライ・ハーンが創った大元ウルス(元朝)を経て、現在まで、モンゴル高原はず っと遊牧社会であった。世界遺産に登録されている名高い万里の長城は、実は農耕文明と遊牧文明の地理的、 文化的な境界線でもあった。本論文は、モンゴル高原すなわち現在のモンゴル国と中国の内モンゴル自治区を 対象地にして、遊牧文明で育んだ都市と建築及び工匠について述べる。 モンゴル高原の草原地帯では、植物の根が張れる土壌層は30cmほどしかない場合がほとんどである。その 下は砂の層、粘土層に分かれている。土壌の層が浅いため、小さい穴でも掘られたら、草で固められた土壌層 が露出して、風に飛ばされ、次の年には砂漠化してしまう。すなわち、農業を行うには適さない土地である。 このような草原地帯の地理的、環境的な条件を適した放牧が根幹的な生業になっている。しかし、家族の50 倍、あるいは100 倍以上の頭数の家畜とともに生活するこの生産方法では、ずっと同じ場所で放牧すると、環 境への負荷が大きくなるため、場所を変えながら生活する「遊牧」という生活様式が成り立った。 遊牧社会と農耕社会の土地所有に関する決定的な違いは、遊牧社会では土地に対する個人の所有権がないこ とである。ある場所で一定期間生活して、そして次の場所へ移動するという生活スタイルを持っていた。この ような生活スタイルに対応して、移動できる建物のゲル(中国語で「蒙古包」と呼ぶ)が誕生し、数千年の進 化を経て現代に継承され、更に変容を続けている。言い換えれば、土地を「公有」する社会の仕組みを基盤と して、移動を前提とする放牧による生産方法と生活スタイルのニーズから、土地に縛られない都市・建築シス テムが作り上げられた。このような遊牧社会には、伝統的な生産技術や生活様式が蓄積されており、それらの 技術や文化は国や地域の境界を超えて広く普及・応用され、遊牧文明が構成されている。 人類の歴史の中で、農耕文明は海洋文明や遊牧文明より圧倒的な影響力を持っていたのは間違いないであろう。 しかし、近代以降は海洋文明が脚光を浴び、近年では情報技術の発展によってネットワーク社会が形成され、 住居も職場も決まった場所に固定しなくても良い時代になってきた。したがって、遊牧文明によって育まれた 土地に縛られずに都市と建築を作り上げる知恵は、現代社会においても有益である。また、遊牧社会では、日 常生活を常に移動を前提に営んでいるから、最小限の持ち物を理想としている。そのため、中国内地、日本や 韓国のように近世以降に工匠の専門的な道具が増え続けるのと異なり、遊牧民の工匠はいかに道具を増やさな くても、ものづくりができるのかを極めた。同時に、13 世紀以降は移動建築づくりがシステム化に向かってい た。

목차
1. 이동할 수 있는 건축 ‘게르’(그림 1)의 구조
    1 .1 분해할 수 있는 구조
    1.2 표준화된 부재
    1.3 누구나 할 수 있는 조립 방법
    1.4 강인하고 썩지 않는 유기 건축재료
    1.5 게르 거주 공간의 ‘안’과 ‘밖’
2. ‘유목 도시’의 공간 구조
    2.1 몽골의 도시 : &quat;호토&quat;와 &quat;프레이&quat;에 대해
    2.2 원 대도시의 도시 계획에 ‘호동(胡同)’ 도입
3. 유목 사회에서의 장인
저자
  • 바오 무핑(야마토 대학(Yamato University) 이공학부 교수 도쿄대학 생산기술연구소 연구원) | BAO Mup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