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일상성 회복의 개념을 적용한 교정시설 옥외공간 설계 1) - 천안개방교도소를 대상으로 - KCI 등재

Outdoor Space Design of Correctional Facilities using the Concept of Recovery of Dailiness - Focusing on the Cheonan Open Prison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249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과거 감시와 통제, 박탈의 역할을 담당했던 교정시절은 보안성에 중점을 두어 설계되었다. 책임형벌주 의에 따른 자유박탈처분은 불가결한 것이지만 현대의 행형이념이 재소자의 재사회에 있다는 점, 구금 으로 인해 발생하는 재소자들의 정신, 심리적 문제 등이 적지 않다는 점 등으로 교정시설의 처우개선을 위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정시설 공간에서의 일상성 회복과 치유를 통한 재소자의 재사회화와 회복적 개념의 교정시설 설계를 제안하였다. 대상지에 대한 일성상 회복의 개념을 적용한 외부공간 설계의 구체적인 설계 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회복과 치유를 위한 6가지의 원칙을 적용하 였다. 물리적으로 안전하고 사고의 위험 요소가 없는 환경, 긍정적 교류의 장으로서의 환경, 차분한 분 위기의 환경, 이동과 선택의 자유가 보장되는 환경, 일상적 환경과 닮은 공간, 교정시설의 느낌이 사라 진 환경 등이다. 둘째, 연결에 중점을 둔 동선 체계화로 재소자와 자연환경의 상호작용을 촉진하였다. 셋째, 절화정원 조성을 통한 외부 사회와의 소통, 인간적인 연결, 일상성 회복과 치유의 조화를 모색하 였다. 본 연구는 교정시설에 대한 일상성 회복 개념의 적용 논의를 확장하고 앞으로 회복적 개념의 교정 시설 설계를 위한 참고 자료를 제공하는데 학술적 의의가 있다.

In the past, correctional facilities, which played the role of monitoring, control, and deprivation, have been designed with a focus on security. A deprivation of liberty due to the culpability principle is indispensable. However, discussions are underway to improve the treatment of correctional facilities because of the fact that the modern ideology of execution lies in the re-socialization of prisoners and that there are a number of ment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of prisoners caused by detention. Accordingly, this study proposes a design for the re-socialization of prisoners with a restorative concept through healing of daily life in the correctional facility space. The specific design strategies of external space design applying the concept of monolithic recovery to the site are as follows. First, six principles for recovery and healing were applied. It includes an environment that is physically safe and has no risk of accidents, an environment with a calm atmosphere, an environment that guarantees freedom of movement and choice, a space similar to a daily environment, and an environment where the feeling of correctional facilities has disappeared. Second, the systematization of circulation patterns focused on connection promoted the interaction between prisoners and the natural environment. Third, through the creation of a cut flower garden, communication with external society, human connection, and harmony between daily life recovery and healing were sought. This study is of academic significance in expanding the discussion on the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daily recovery to correctional facilities and providing reference for the design of correctional facilities with restorative concepts in the futur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2.1 교정시설의 특징
    2.2 교정시설에 대한 일상성 회복 개념의 적용
3. 설계 여건 분석
    3.1 대상지 현황
4. 일상성 회복의 적용을 위한 구상과 설계
    4.1 설계 개념과 전략
    4.2 동선 계획
    4.3 식재 및 절화정원 계획
    4.4 포장 및 시설물 계획
5. 결론
References
저자
  • 장흥수(경희대학교 대학원 환경조경학과) | Heungsu Ja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yungHee University)
  • 민병욱(경희대학교 환경조경디자인학과) | Youngwook Min (Dept. of Environment Landscape Design, KyungHee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