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Crack in the Taegeukgi : Symbolisation of Nationalism and the Changes in the State-System in Korea KCI 등재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274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900원
한국과 세계 (Korea and World Review)
한국국회학회 (Korea Society of Assembly Studies)
초록

한국의 대중의 태극기 사용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한국에서의 비공식 적 내셔널리즘과 국가의 공식적 질서의 관계를 탐구한다. 역사적으로 태 극기는 공식 상징으로 제정 당시부터 그것이 통용되는 의미의 변화를 겪 었다. 태극기는 군부 및 발전국가의 정당화, 권위주의 정부에 대한 저항 의 상징, 시장에서의 국가이미지의 상품화, 그리고 새로운 보수세력의 발 흥의 의미를 지녀왔다. 담론적 제도주의에 근거하여, 저자는 역사적으로 당연하게 받아들여지는 헤게모니로서 구성된 국가 상징이 특정한 정치 세력에 의해 배타적으로 사용될 경우 그러한 당연함에 균열이 가해질 수 있음을 밝힌다. 본 연구는 그러한 집단들이 공공연히 국가 상징을 사용 할 수록, 그들은 암묵적으로 그들이 네이션의 정당한 행위자로 받아들이 는 국가-체제 질서의 위기를 보여주고 있음을 강조한다. 이는 현재 세계 곳곳에서 우익 포퓰리즘 집회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국기의 유사한 사용을 이해할 수 있는 시사점을 준다.

Focusing on the popular usage of the national flag in South Korea,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nationalism and the formal order of the state in Korea. Historically, from its legal adoption as an official symbol and its proliferation into society, South Korea’s national flag, Taegeukgui , has experienced changes in its meaning. It has been used for varied purposes: legitimising the military and developmental state, mobilising the democratic resistance against the authoritarian state, commercialising the national image in the market, and rehabilitating neo-conservative forces. Based on the methodology of discursive institutionalism, the author attempts to elucidate that this historically constructed hegemonic taken-for-grantedness of the national symbols gets broken when certain political groups use them to emphasise their exclusive meaning in a symbol. This study highlights that as those groups explicitly use the national symbols to legitimise their political opinion, they implicitly show the crisis of the state-system order, which they believe in as a legitimate agency of the nation. This implication will be helpful in a broader understanding of the similar usage of the national flags recently arising around the world in right-wing populist rallies.

목차
I. Introduction
II. Banal nationalism, hegemony and political legitimationin everyday life
Ⅲ. Hegemonization of Taegeukgi in Korean society:1945~1987
Ⅳ. Taegeukgi in the democratised Korea: 1990s~2000s
Ⅴ. The Formation of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Candlelight Vigil vs Taegeukgi Rally: 2002~presentas of the year 2024
    1. The Development of Candlelight Vigil
    2. Taegeukgi revisited the popular movement in a way differentfrom before
Ⅳ. Conclusion: The Crisis of Hegemonic idea of nationalism


저자
  • 김현준(강원대학교) | Hyeonjun Kim (Kangwon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