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대중의 태극기 사용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한국에서의 비공식 적 내셔널리즘과 국가의 공식적 질서의 관계를 탐구한다. 역사적으로 태 극기는 공식 상징으로 제정 당시부터 그것이 통용되는 의미의 변화를 겪 었다. 태극기는 군부 및 발전국가의 정당화, 권위주의 정부에 대한 저항 의 상징, 시장에서의 국가이미지의 상품화, 그리고 새로운 보수세력의 발 흥의 의미를 지녀왔다. 담론적 제도주의에 근거하여, 저자는 역사적으로 당연하게 받아들여지는 헤게모니로서 구성된 국가 상징이 특정한 정치 세력에 의해 배타적으로 사용될 경우 그러한 당연함에 균열이 가해질 수 있음을 밝힌다. 본 연구는 그러한 집단들이 공공연히 국가 상징을 사용 할 수록, 그들은 암묵적으로 그들이 네이션의 정당한 행위자로 받아들이 는 국가-체제 질서의 위기를 보여주고 있음을 강조한다. 이는 현재 세계 곳곳에서 우익 포퓰리즘 집회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국기의 유사한 사용을 이해할 수 있는 시사점을 준다.
The emergence of pop art in the 1960s exerted a profound impact on integrating art into the real lives of the general public, which continues in the current area of culture of post-industrial society. Thus, this study aims to attempt the popularization and modernization of Korean images by applying the concept of pop art to the development of a national symbolic image. This study utilized Mugunghwa, Taegeukgi, and the Great Seal, which are national symbolic images that establish the identity of Korea through differentiation, universality, and visual formativeness. It then proceeded with the development of neo-pop art motives and patterns using national symbolic images from the standpoint of symbolism, mix-match, and repetitiveness from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neo-pop art. This study carried out pattern design by departmentalizing each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standpoint of neo-pop art through scribbles composed of the following: Signs, pictograms, and childlike characters; drawing simplification for symbolism; a mix of the East and the West; a mix of subfashion and subculture for mix-match; the repetition of lines, characters, and icons; and the exaggeration and grotesqueness of characters and icons for repetitiveness.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momentum for raising the cultural value of Korea and for the development of a pattern design capable of achieving worldwide competitiveness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permanence and continuity of national symbols with the popular universality of pop a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