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고령자의 건강 라이프스타일에 반영된 가치체계에 따른 유형과 주관적 건강 및 종합적 행동 경향의 차이 KCI 등재

Differences in Subjective Health and Comprehensive Behavioral Tendencies Based on Health Lifestyle Values System Types i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288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중고령자의 건강 라이프스타일에 반영된 가치체계를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s Analysis, LPA) 을 통해 잠재유형을 구분하고, 관련된 영향요인과 주관적 건강, 종합적인 행동 경향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온라인 리서치 업체를 통해 중고령자 300명을 대상으로 건강 라이프스타일 가치체계(Yonsei Lifestyle Profile-Values), 주관적 건강(Self-Rated Health), 종합적인 행동 경향(Yonsei Lifestyle Profile-ABCD)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라이프스타일 가치체계 자료는 LPA를 실시하였으며, 분류된 잠재프로파일의 영향요인은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종속변수의 차이는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잠재프로파일은 가치체계 특성에 따라 3개로 분류되었다. 잠재프로파일 유형은 ‘낮은 건강 가치체계 (Profile1)’, ‘높은 건강 가치체계(Profile2)’, ‘중간정도의 건강 가치체계(Profile3)’로 명명되었다. 잠재프로파 일의 영향요인은 개인적 요인에서 교육 수준과 연령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잠재프로파일에 따른 주관적 건강과 종합적 행동 경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중고령자 라이프스타일에 반영된 가치체계가 건강을 추구하는 유형일수록 일상에서 더 건강한 방식의 행동을 채택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이는 건강관리 측면에서 라이프스타일을 건강한 방식으로 증진시키기 위해 가치체계를 고려한 개입 방안 및 방향성을 제시함에 의의가 있다.

Objective: To classify latent profiles of the value systems reflected in the healthy lifestyles of middle-aged and older adults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LPA) and analyze differences in related influencing factors, subjective health, and comprehensive behavioral tendencies. Methods: Yonsei Lifestyle Profile-Values, Self-Rated Health, and Yonsei Lifestyle Profile-ABCD data were collected from 300 middle-aged and older adults through an online research company. LPA was conducted on the collected lifestyle value system dat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the classified latent profiles, and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assess differences in the dependent variables between profiles. Results: Three latent profiles based on value system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Low Health Values System (Profile1),’ ‘High Health Values System (Profile2),’ and ‘Moderate Health Values System (Profile3).’ Educational attainment and ag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se latent profiles. Addition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subjective health and overall behavioral tendencies among the profiles.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middle-aged and older adults who prioritize health in their value systems are more likely to adopt healthier behaviors in their daily lives. Thi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value systems when designing intervention strategies and directions aimed at promoting healthy lifestyles from a health management perspectiv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설계
    2. 연구대상
    3. 측정도구
    4. 분석 방법
Ⅲ. 연구 결과
    1. 기술통계
    2. 건강 라이프스타일에 반영된 가치체계에따른 잠재프로파일 구분
    3. 잠재프로파일의 특성
    4. 라이프스타일에 반영된 가치체계 잠재프로파일의 영향요인 검증
    5. 잠재프로파일별 주관적 건강과 건강 관련종합적인 행동의 차이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
  • 임영명(연세대학교 소프트웨어디지털헬스케어융합대학 작업치료학과 연구교수) | Lim, Young-Myoung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Software and Digital Healthcare Convergence, Yonsei University, Research Professor)
  • 김아람(연세대학교 소프트웨어디지털헬스케어융합대학 작업치료학과 연구교수) | Kim Ah-Ram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Software and Digital Healthcare Convergence, Yonsei University, Research Professor)
  • 박지혁(연세대학교 소프트웨어디지털헬스케어융합대학 작업치료학과 교수) | Park Ji-Hyuk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Software and Digital Healthcare Convergence, Yonsei University, Professor)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