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청소년의 기후변화 인식이 기후변화 문제해결 행동에 미치는 영향 : 미디어와 기후변화 관여도의 영향을 중심으로 KCI 등재

Impact of Youth's Climate Change Awareness on Climate Change Problem-solving Behavior : Focusing on Impact of Media and Climate Change Involvem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455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한국과 세계 (Korea and World Review)
한국국회학회 (Korea Society of Assembly Studies)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의 기후변화 인식이 기후변화 관여도와 기후변화에 따른 문제해결을 위한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특히 기후변화에 대한 청소년의 관여는 그들이 주로 노출되는 미디어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예측하였으며, 미디어로 SNS와 매스미디어뿐만 아니라 교과서를 포함하였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수행한 청소년의 기후변 화에 대한 인식조사 원본 데이터를 활용하여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SNS와 매스미디어, 교과서와 같은 미디어는 기후변화 관여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기후변화 관여도를 통해 기후변화 문제해결 행 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미디어들의 적 극적인 활용이 궁극적으로 청소년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중요성 인식뿐만 아니라 행동 실천을 유발도하기 위해 필요함을 의미한다.

This study sought to determine the impact of youth's awareness of climate change on their involvement in climate change and their actions to solve problems caused by climate change. In particular, it was predicted that youth's involvement in climate change would vary depending on the media they were primarily exposed to. At this time, we attempted to include not only SNS and mass media as information collection media, but also all experiences inside and outside of school, including textbooks encountered in school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using original data from a survey of youth perceptions of climate change conduct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media such as SNS, mass media, and textbook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climate change involvement, and indirectly influenced climate change problem-solving behavior through climate change involvement.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청소년과 기후변화 정보 미디어
    2. 기후변화 관여도
Ⅲ.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 도구
    3. 분석 방법
Ⅳ. 결과 분석
    1. <연구문제 1> 분석결과
    2. <연구문제 2> 분석결과
    3. <연구문제 3> 분석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저자
  • 김민정(동의대학교) | Minjung Kim (Dongeui University)
  • 송연주(동의대학교) | Yeonjoo Song (Dongeui University)
  • 이은주(동의대학교) | Eun-Ju Lee (Dongeui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