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내·외 반려동물 복지에 관한 고찰 및 향후 방향성 논의 및 분석

A Study on the Welfare of Domestic and Foreign Companion Animals with Discussion and Analysis of Future Directio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458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동물매개심리치료학회지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Animal Assisted Psychotherapy)
한국동물매개심리치료학회 (Korean Association of Animal Assisted Psychotherapy)
초록

국내 반려동물 양육 가구 수 증가로 반려동물의 복지 제도 도입과 동물보호법 개정이 진행되고 있다. 국내에선 반려동물 복지를 위해 힘쓰고 있으며, 국내 반려동물 시장은 급 격히 성장하였다. 그러나 그들을 보호하고 권리를 보장하는 직접적인 요소인 동물보호 법 률은 아직 더디고 부족함이 많은 실정이다. 미약한 법률로 인해 동물 학대 사건이 발생하 며, 누구나 쉽게 반려동물을 입·분양하고 유기하며, 반려동물 복지 문제 해결을 위한 예산 도 부족하다. 이 외에도 의료비, 장묘 제도 관련 법률도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내 입·분양제도, 반려동물 보유세, 동물 학대법, 의료보험, 장묘제도의 측면 에서 나누어 국외 사례와 비교 분석한 뒤 국내 동물보호법의 문제점 및 해결 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독일의 동물보호법의 경우 반려동물에 대한 책임감과 보호를 목적으로 제정 하였고, 정당한 이유 없이 동물에게 고통과 괴로움을 가하지 말아야 함을 규정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위생·주거·식품·의료보호 등의 문제를 규정하고 있다. 국외의 동물보호법은 200여 년이 넘는 역사를 지녔지만 국내의 경우는 1991년에 실질적 동물복지 법률을 제 정하여 조항이 매우 미약하고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따라서 국내 반려동물 복지 향상을 위해 더욱 명확한 법 규정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본론
    1. 입․분양제도
    2. 반려동물 보유세
    3. 동물 학대 규정
    4. 의료보험
    5. 장묘제도
Ⅳ. 결론 및 제언
Ⅴ. 참고문헌
저자
  • 원지영(원광대학교 반려동물산업학과) | Ji-Young Won (Department of Companion Animal Industry, Wonkwang University)
  • 유정현(원광대학교 반려동물산업학과) | Jung-Hyun Yoo (Department of Companion Animal Industry, Wonkwang University)
  • 강현비(원광대학교 반려동물산업학과) | Hyeon-Bi Kang (Department of Companion Animal Industry, Wonkwang University)
  • 권종현(원광대학교 반려동물산업학과) | Jong-Hyun Kwon (Department of Companion Animal Industry, Wonkwang University)
  • 임찬혁(원광대학교 반려동물산업학과) | Chan-Hyeok Yim (Department of Companion Animal Industry, Wonkwang University)
  • 강원국(원광대학교 동물보건학과) | Won-Kuk Kang (Department of Veterinary Nursing, College of Health Sciences, Wonkwnag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