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예술영화관람의 활성화 방안 : 문화복지 관점에서

Methods for vitalization of Art cinema: From a cultural welfare perspectiv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471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100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9개의 문화예술향유 분야 중 영화분야의 이용실태를 비교분석하여 문화복지 관점 에서 예술영화관람 증진을 위한 방안을 찾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2019년 국민문화예술실 태조사’를 원자료로 하여 문화예술향유 분야의 이용실태를 분석하였고 그중 영화분야의 자료만을 뽑아서 인천지역과 비교하여보았다. 분석결과는 전체적으로 인천지역 포함 지역규모별, 대부분의 연령층에서 영 화에 대한 관람경험이 높았으며, 영화관람 의향과 관람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 구결과를 기초로 영화를 매개로 하는 문화예술향유의 증대를 가져올 수 있다고 볼 수 있으며, 삶의 질 향상, 자아성찰적 만족을 제공하는 예술영화관람의 활성화를 통해 지역사회의 문화수준을 높여 문화복 지사회를 만들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status of movie viewers among the nine sectors of culture and art in order to find ways to increase the number of viewers of art cinema from a cultural welfare perspective. For this study, using the '2019 National Culture and Arts Survey' as the original data, we analyzed the usage conditions in the field of the culture and art, and compared it with the Incheon area with the selected data from the movies secto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overall movie experience was high in most age groups and regions including Incheon area and that intention and satisfaction about the movie was very high.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medium of cinemacan contribute greatly to the increase of the enjoyment of culture and art. It was discussed that it is possible to create a cultural welfare society by raising the cultural level of the local community through the activation of art cinema viewing that improves quality of life and provides self-reflective satisfaction.

목차
1. 서 론
2. 예술영화
    1) 예술영화의 정의
    2) 예술영화 인정 기준
    3) 예술영화의 현재
3. 예술영화관람과 문화예술향유와 관계
    1) 예술영화관람의 만족도
    2) 문화예술향유
    3) 문화예술향유 만족감
4. 예술영화관람 실태
    1) 전반적인 문화예술행사 관람 실태
    2) 영화 관련 분석
5. 결론 : 예술영화관람 활성화 방안
    1) 영화소비 변화에 따른 마케팅 변화
    2) 예술영화관의 환경개선을 위한 시설투자
    3) 영화관람 문화의 진화 이해
    4) GV행사 증대를 통한 예술영화 교육효과
    5) 소외계층을 위한 영화프로그램 확대
    6) 예술영화 홍보 전략
    7) 예술영화관 소극장 대관사업 확대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심현빈(서울한영대학교 사회복지학 박사(Ph. D. Cand) 국제사이버대학교 보건복지행정학과 객원교수, 영화공간주안 관장) | Sim Hyun Bin (Candidate of the Graduate School in Seoul Hanyoung University(Ph. D). Gukje Cyber University, Health & Welfare Adminstration professor, CinespaceJuan Dir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