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대상지인 김천 공자동은 유가의 시조인 성현(聖賢) 공자(孔子)의 존함을 그대로 차용해 이루어진 지명을 갖는 마을이다. 이러한 공자동을 배경으로 하는 구곡시가에 나타난 지명의 물리적 환경과 인간 활동 그리고 그 의미 간의 상호작용의 산물인 마을의 장소성 구명(究明)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분석과 해석을 통해 도출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례향교와 도동서원을 중심으로 16~17 세기 선비문화가 발전한 김천 공자동 설동(設洞)의 가장 유력한 설은 조선초 김천 부항면 출신 병마사 이회(李晦)가 자택에 보관하던 공자의 화상(畫像)을 1650~1670년 사이에 경주 이씨·김해 김씨·밀양 박 씨를 본관으로 하는 세 선비가 인근 지례향교로 옮기면서 공자동이라 명명하였다는 것이다. 이후 인근 지역의 지명까지도 공자와 관련된 고사(古事)와 관련된 인물과 행적과 관련지어 명명하면서 유가의 성 현 공자의 소환을 통한 유가의 이상세계를 구현하고자 하는 지명의존과 장소착근 현상이 심화되었다. 둘째, 공자동이 지속적 마을 형성과 발전을 지탱해온 바탕에는 이곳이 지례면과 김천시를 잇는 길목에 있는 교통요충지라는 이점과 더불어 성현의 존함을 차용한 공자동이라는 지명 자체가 마을의 물리적· 정신적 토대이자 주민의 자긍심을 높이는 소속감과 장소애의 본질로 판단된다. 지금도 존재하는 공자 관련 지명은 대항면 대성리의 공자동·창평, 주례리의 주공, 구성면 상거리의 저익촌·백어·명덕·벽계, 구성면 상좌원리의 문도동 등 다수가 존재한다. 셋째, 공자동의 산수경관이 노래된 황남별곡(黃南別 曲), 공자동구곡(孔子洞九曲) 그리고 구곡단가(九曲短歌)는 공자와 관련한 인명과『논어(論語)』의 고사를 통해 공자에 대한 숭모(崇慕)와 득도(得道)의 열망이 표출된 것이다. 지명 공자동(孔子洞), 창평 (昌平), 주공(周公), 안연대(顏淵臺), 백어(伯魚), 명덕(明德), 저익촌(沮溺村), 문도동(問道洞), 상좌원 (上佐院), 모성암(慕聖巖), 자하령(子夏嶺) 등은 특히 성현 공자를 향한 흠앙(欽仰)과 존양(存養)의 장소 로서, 공자와 유가사상이 깃든 장소의존과 장소애착의 산물이다. 넷째, 벽계천(碧溪川)을 중심으로 설 정된 공자동구곡과 구곡단가의 제1곡 모성암을 비롯한 구곡명과 경물 그리고 구곡 바위글씨는 공자 이외에 무이구곡 문화를 실천한 주자(朱子)의 덕행에 대한 흠모를 바탕으로 유가의 실존과 덕행을 따르 고자 했던 흔적이다. 공자동에서 보여지는 지명과 경물에 부여된 의미경관과 실존경관은 궁극적으로 모두 공자와 주자에 대한 흠앙과 존숭(尊崇)을 통해 유가적 이상을 실현하고자 하는 조선 선비들의 신 념이 표출된 것으로 공자동 장소정체성의 본질이다. 다섯째, 공자동 구곡 일대의 바위글씨 대부분은 제1곡 모성암과 제6곡 안연대에 집중(75.6%)된다는 점에서 해당 장소가 문화경관적 맥락에서 장소적 중요성과 가치를 지님을 확인하였다. 또한, 모성암의 바위글씨는 장소와 관련한 인물에 대한 흠앙과 존숭 그리고 장소에 대한 찬미의 내용을 담고 있는 반면 안연대 바위글씨는 공자의 제자 안연(顏淵)에 대한 추모와 함께 안빈낙도하고 유유자적한 삶의 동경이 강하게 표출됨에 따라 구곡간의 장소성에는 다소의 차이가 발견된다. 공자동 일대의 지명 등은 공자뿐만 아니라 공자의 아들과 제자, 공자가 숭모한 인물 주공 그리고 공자의 정신이 함축된 것일 뿐 아니라 공자동구곡 및 구곡단가를 통해 주자가 무이산 무이구곡에서 실행했던 덕행 또한 오롯이 담겨 있는 유교적 이상세계를 구현하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공자동을 중심으로 산재한 지명과 경물명 그리고 구곡명은 유가의 시조 공자와 주자 성리학을 숭모하 며, 철저한 유학자적 삶을 추구하고자 했던 조선 선비들의 관념이 장소화 된 공간임을 확인할 수 있다.
Gongja-dong, Gimcheon, the study site, is a village with a name borrowed from the title of Seonghyeon Confucius, the founder of Confucian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place-specific nature of the village, which is a produ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hysical environment, human activities, and the meaning of the place names shown in Gu-gok City, with Gongja-dong as the background. The results of the study derived through analysis and interpretation are as follows. First, Gongja-dong's name originated from the most popular theory that three scholars, Lee Clan, Gimhae Kim clan, and Miryang Park clan, moved the portrait of Confucius kept by Yihoe in the early days of the first election to Jiryehyanggyo Bridge between 1650 and 1670. Since then, the surrounding area has been named in relation to Confucius' stories, characters, and activities, deepening the dependence of name dependence and place rootedness to the ideal world of Confucianism through Confucius' summons. Second, nevertheless, the reason why the village was continuously formed and developed is that it is a transportation hub and the name Gongja-dong is considered to be the physical and spiritual foundation of the village and the essence of the sense of belonging and topophilia that increases the residents' self-esteem. Third, <Hwangnambyeolgok(黃南別曲)>, <Gongja-dong Gu-gok(孔子洞九曲)> and <Gu-Gok Dan-ga(九曲短歌)> expressed their adoration for Confucius and desire for spiritual awakening through their names and stories related to Confucius. Gu-gok's geographical name and Landscape Components' name are the places of admiration and respect for Confucius and Confucianism, and are the products of the place's dependence and attachment have an thought Confucius and Confucianism reside. Fourth, the name of Gu-gok, which was established around Byeokgyecheon Stream, and carved letter in the rock are a trail of follow of the Confucianism's existence and virtue based on the admiration of the Zhu Xi's admiration of virtue. The meaning and existence of the land's name and Landscape Components's name are the essence of Gongja-dong place identity, as Joseon scholars expressed their belief in realizing Confucian ideals through admiration and respect for Confucius and Zhu Xi. Fifth, it was confirmed that most of the rock writings in the Gu-gok area of Gongja-dong are concentrated (75.6%) on Moseongam and Anyeondae, confirming that the location has regional importance and value in the context of cultural landscape. In addition, the rock calligraphy at Moseongam contains contents of adoration and respect for people related to the place and praise for the place, while the rock calligraphy at Anyeondae is a memorial to Confucius' disciple Anyeon(顏淵). As the longing for a peaceful life and a leisurely life are expressed strongly, some differences are found in the sense of place between the valleys. Gongja-dong and its surrounding geographical names seem to embody a Confucian ideal world that contains the spirit of Confucius and his son, disciples, Confucius' admiration to ZhouGong, and the spirit of Confucius. It can be seen that gu-gok's name, scattered around Confucius-dong, is a place-making where Joseon scholars wanted to pursue a thorough Confucian life by adoration Confucius, Zhu Xi, and Neo-Confucian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