굴절이상에 따른 망막 상의 해상도 변화
목적 : 광학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Gullstrand 모형안을 입체적으로 설계하여, 정시와 굴절이상을 구현하 였다. 이를 이용하여 망막 상의 해상도 변화를 확인하고 정량적인 분석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 3D 광학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인 Ansys SPEOS Ver. 2012(ANSYS Inc., USA)를 이용하여 모형안을 설계하였으며, 각막 전면 곡률반지름을 변화시켜 근시 및 원시의 굴절이상을 구현하였다. 각막 전면에서 우측 24.00, 24.38 및 25.00 mm 떨어진 위치에 탐지기를 설치하여 위치에 따른 상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굴절이상의 정도와 검출기 위치에 따른 상의 겉보기 해상도, 세기 분포, 가시성, 선명도를 확인하였으며 도출하였으며, 최종적 으로 정량적 해상도를 계산하였다. 결과 : 망막 상의 겉보기 해상도는 근시는 망막 앞에, 그리고 원시는 망막 뒤에 결상된 상에서 가장 우수한 결과 를 보였다. 세기 분포는 24.76 mm에서 +1.00과 +2.00 D가 모두 유사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나 겉보기 해상도와 일부 차이를 보였다. 가시성은 24.00 mm에서 –2.00과 –1.00 D, 24.38 mm에서 –1.00과 +0.00 D, 24.76 mm에 서 +1.00과 +2.00 D가 높게 측정되었다. 선명도는 24.00 mm에서 –2.00 D, 24.38 mm에서는 -1.00 D, 그리고 24.76 mm에서는 +1.00 D에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이로써 가시성과 선명도 값은 위치와 굴절이상도에 따른 서로 다른 결과로 분석되었다. 정량적인 해상도는 24.00 mm에서 –2.00 D, 24.38 mm에서 –1.00과 +0.00 D, 24.76 mm에서 +1.00 D가 가장 우수하게 분석되었으며, 겉보기 해상도와 잘 일치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제안된 망막 상의 정량적 해상도 분석 결과를 통해 상대적으로 비교가 까다로운 망막 상에 대하여 정량적으로 명확한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 In this study, the Gullstrand model was three-dimensionally designed using an optical simulation program, and emmetropia and refractive error were implemented. Through this, we attempted to confirm changes in resolution on the retinal image and introduce a quantitative analysis method. Methods : A 3D optical simulation program, Ansys SPEOS Ver. 2012 (ANSYS Inc., USA), was used for the schematic eye design. The refractive error of myopia and hyperopia was simulated by adjusting the front radius of curvature of the cornea. Detectors were positioned 24.00, 24.38, and 25.00 to the right of the front of the cornea to analyze changes in images depending on location. The apparent resolution, intensity distribution, visibility, and clarity of the retinal image by refractive errors and detector locations were confirmed, and the final quantitative resolution was then determined. Results : The apparent resolution of retinal images showed the best results when images were in front of the retina for myopic eyes and behind the retina for hyperopic eyes. The intensity distribution was found to be similarly high at both +1.00 and +2.00 D at 24.76 mm, showing some difference from the apparent resolution. Visibility was measured to be –2.00 and –1.00 D higher at 24.00 mm, -1.00 and +0.00 D at 24.38 mm, and +1.00 and +2.00 D higher at 24.76 mm. Clarity was measured highest at –2.00 D at 24.00 mm, -1.00 D at 24.38 mm, and +1.00 D at 24.76 mm. As a result, visibility and clarity values were analyzed as different results depending on locations and refractive errors. The quantitative resolution was analyzed as best at –2.00 D at 24.00 mm, -1.00, +0.00 D at 24.38 mm, and +1.00 D at 24.76 mm, and was confirmed to be in good agreement with the apparent resolution. Conclusion : It is believed that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resolution analysis of retinal images proposed in this study will enable a clear quantitative analysis of retinal images that are relatively difficult to comp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