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인생태도가 스트레스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Life Position on Stress and School Adapt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546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교류분석이론에 근거해서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스트레 스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생태도를 검증하여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적응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대전지역 전체(10개교) 특성화고등학교 재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한 다음 인생태도를 교류분석이론에 기반 한 4가지(Ⅰ,Ⅱ,Ⅲ, Ⅳ)로 분류한 후, IBM SPSS 28, AMOS 28을 활용하여 모형의 적합도 및 변인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자기부정이 포함된 Ⅰ 번(자기부정, 타인긍정), Ⅱ번(자기부정, 타인부정) 태도는 특성화고등학 교 학생들의 스트레스를 증가(+)시키고, 자기긍정이 포함된 Ⅲ번(자기긍 정, 타인부정), Ⅳ번(자기긍정, 타인긍정) 위치의 태도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태도는 Ⅳ번(자기긍정, 타인긍정) 태도로 나타 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볼 때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스트레스를 줄 이고 학교적응을 위해서는 학생들의 부정적인 인생태도(Ⅰ,Ⅱ,Ⅲ)를 자각 시켜 스스로 긍정적인 인생태도(Ⅳ)로 이동하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교류분석이론이 스트레스 완화 및 적응에 유용하다는 것을 지 지하는 결과인 동시에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건강 및 학교적응을 돕 는 정책 및 실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tudents' life position on stress and school adaptation based on Transactional Analysis(TA) theory. Data were collected from 500 students attending 10 specialized high schools in Daejeon, and life positions we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Ⅰ,Ⅱ,Ⅲ,Ⅳ) according to the Transactional Analysis theory. IBM SPSS 28 and AMOS 28 were utilized for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s, positions characterized by self-negativity in types Ⅰ and Ⅱ were found to increase students' stress, while positions characterized by self-positivity in types Ⅲ and Ⅳ were associated with stress reduction. Furthermore, positions in type Ⅳ were identifi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school adapt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e importance of students transitioning from negative life positions to positive ones for better school adaptation and stress reduction.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supporting the utility of TA theory in alleviating students' stress and facilitating school adaptation, offering foundational data for policy-making and practical interventions to promote students' growth and school adapt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인생태도
    2. 스트레스
    3. 학교적응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2. 연구모형 및 가설
    3. 측정도구
Ⅳ. 연구결과
    1. 측정도구의 타당성과 신뢰성 검증
    2. 연구모형의 적합도 검증
    3. 연구가설 검증
Ⅴ. 결론과 함의
<참고문헌>

저자
  • 김은경(대전대학교) | Eun Keyoung Kim (Daejeon University)
  • 남미애(대전대학교) | Mi Ae Nam (Daejeo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