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서울시 노인복지관에서 여성 독거노인의 상담을 통하여 사 례자가 느끼는 죽음의 의미와 죽음불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사례자의 죽음불안의 상황에 대한 현상을 살펴보기 위해 사례연구(Case Study)방법을 사용하였다. 사례자의 심리상담은 2023년 9월부터 10월까 지 총 5회기 상담을 하였다. 사례자의 인지기능은 MMSE-K 척도에서 24점으로 정상으로 판단되었다. 자아존중감 정도는 30점으로 보통 수준 이며, 절망감 수준은 28점으로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우울 정도는 CES-D 척도에서 24점으로 우울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죽음불안 (DAS :Death Anxiety Scale)은 수준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리고 사례자가 느끼는 죽음의 의미는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죽음불안은 공포감 두려움, 절망감, 우울감 등 부정적 의미로 나타났다. 사례자의 죽 음불안을 극복하기 위한 실존주의 심리상담 모델를 제시하며, 사회적지 지 연계를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the meaning of death and death anxiety felt by the case person through counseling at a senior welfare center in Seoul. This study used a case study method to examine the phenomenon of the case person death anxiety situation. The case person psychological counseling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5 sessions from September to October 2023. The case person cognitive function was judged to be normal, with a score of 24 on the MMSE-K scale. The level of self-esteem was found to be average at 30 points. Additionally, the level of despair was found to be some-what high at 28 points. And the level of depression was high at 24 points on the CES-D scale. The level of death anxiety (DAS: Death Anxiety Scale) was found to be some-what high. And the meaning of death felt by the case person appeared in various ways, and death anxiety included feelings of fear, despair, depression, etc. It appeared in a negative connotation. An existentialist psychological counseling model was presented to overcome death anxiety in the elderly, and practical measures for linking social support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