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영화 ‘샤인(Shine)’의 주인공 ‘데이빗(David)’의 조현병 사례를 분석하여, 조현병의 발병 원인과 치유 과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영화의 주 요장면에서 나타난 주요 생활사건에 해당되는 가족의 대사, 비언어적 태 도 및 행동으로 나타나는 특징을 텍스트화하여 ‘메트릭스(Matrix)’ 분석 방법으로 정리하여 조현병의 유발 요인 ‘취약성-스트레스 모델’에 적용하 여 분석하였다. ‘데이빗(Davd)’의 조현병은 유전적 요인, 가정 내 갈등, 극 심한 스트레스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특히 아버지의 강압적 이고 이중적인 양육 방식, 사회적 고립, 유학과 콩쿨의 실패, 멘토의 죽음, 난곡 도전 등이 주요 발병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데이빗(David)’은 아내 ‘길리언(Gillian)’의 지지와 돌봄으로 긍정적인 인간관계를 통해 점차 치유되 어 가고 있었다. 이에 따라 치료적 접근에서 부모양육 태도 및 상담자의 지 지와 돌봄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상호간의 손상을 피하면서도 내면 의 공격성을 안전하게 표출하고 이를 통해 유대감을 강화할 수 있는 문화적 장(場)을 확산시키는 등의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 노인복지관에서 여성 독거노인의 상담을 통하여 사 례자가 느끼는 죽음의 의미와 죽음불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사례자의 죽음불안의 상황에 대한 현상을 살펴보기 위해 사례연구(Case Study)방법을 사용하였다. 사례자의 심리상담은 2023년 9월부터 10월까 지 총 5회기 상담을 하였다. 사례자의 인지기능은 MMSE-K 척도에서 24점으로 정상으로 판단되었다. 자아존중감 정도는 30점으로 보통 수준 이며, 절망감 수준은 28점으로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우울 정도는 CES-D 척도에서 24점으로 우울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죽음불안 (DAS :Death Anxiety Scale)은 수준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리고 사례자가 느끼는 죽음의 의미는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죽음불안은 공포감 두려움, 절망감, 우울감 등 부정적 의미로 나타났다. 사례자의 죽 음불안을 극복하기 위한 실존주의 심리상담 모델를 제시하며, 사회적지 지 연계를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