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인간작업모델을 기반으로 한 여가활동이 지역사회 거주 장애인의 삶의 질, 자기효능감, 시간 사용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Leisure Activities Based on the Model of Human Occupation on Quality of Life, Self-efficacy, and Time Use o f Community-dwelling Persons With Disabilit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578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대한작업치료학회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인간작업 모델을 기반으로 한 여가활동이 지역사회 거주 장애인의 삶의 질, 자기효능감, 시간 사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보건소 지역사회 재활 사업에 참여하는 지역사회 거주 장애인 15명을 선정하여 대상으로 했다. 대상자와 작업치료 학부생 봉사자 2~3명을 매칭하였고, 지역사회 재활 담당 작업치료사와 작업치료학과 교수의 지도하에 평가와 중재를 제공하였다. 연구설계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를 적용했다. 중재는 10주 동안 10회기 실시하였으며 중재 전⋅후를 비교하기 위해 삶의 질 평가를 위해 한국판 WHO 삶의 질 척도-단축형(Korean Versio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Brief Version), 자기효능감 평가를 위해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General Self-efficacy Scale), 시간 사용 평가를 위해 작업 질문지(Occupational Questionnaire; OQ)를 사용하였다. 결과: 10주간의 인간 작업모델을 기반으로 한 여가활동을 통해 지역사회 거주 장애인의 삶의 질은 전반적 삶의 질, 신체적 건강, 사회적 관계에서 상승을 보였다.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시간사용은 OQ의 전 문항에서 유의하게 변화가 있었다. 결론: 지역사회 거주 장애인이 삶에서 원하는 여가활동을 할 수 있도록 많은 방문재활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leisure activities based on the Model of Human Occupation on the quality of life (QoL), self-efficacy, and time use of community-dwelling persons with disabilities.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included 15 community-dwelling persons with disabilities, recruited through a public health center. The participants were matched with 2-3 undergraduate volunteers majoring in occupational therapy, and evaluation and intervention were provided under the guidance of an occupational therapist in charge of community rehabilitation and a professor from the OT department. The study used a single-group pretest/posttest research design.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in 10 sessions over 10 weeks. The Korean version of the WHO Quality of Life Scale-shortened version was used to evaluate QoL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General Self-efficacy Scale was used to evaluate self-efficacy and the Occupational Questionnaire (OQ) was used to evaluate time use. Results: Through 10 weeks of leisure based on the Model of Human Occupation, the QoL of community-dwelling persons with disabilities showed improvements in overall QoL, physical health, and social relationships. The self-efficacy did not show significant improvement. The time use showed significant change is overall areas of in overall areas of OQ. Conclusion: We expect persons living in community to benefit from more visiting rehabilitation in order to engage in leisure activities of their choic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1. 대상자
    2. 선별도구
    3. 평가도구
    4. 중재도구
    5. 연구 절차
    6. 분석 방법
Ⅲ. 연구결과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여가프로그램 중재 전⋅후 변화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
  • 임지현(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학부생) | Lim Jihyu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onyang University, Undergraduate Studente)
  • 유대성(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학부생) | Yoo Daeseong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onyang University, Undergraduate Studente)
  • 유서진(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학부생) | Yu Seoji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onyang University, Undergraduate Studente)
  • 이지혜(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학부생) | Lee Jihye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onyang University, Undergraduate Studente)
  • 김희(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부교수) | Kim Hee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onyang University, Associate Professor)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