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이건용의 노래와 가곡: 사회문화적 컨텍스트와 연관된 양식변화를 중심으로 KCI 등재

Geon-Yong Lee’s Songs and Art Songs: Focusing on Stylistic Changes in Response to the Sociocultural Contex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579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음악이론포럼 (Music Theory Forum)
연세대학교 음악연구소 (Yonsei University Institute of Music Research)
초록

본 논문은 이건용이 5⋅18 민주화운동이라는 역사적 현실에 직면하여 예술가곡 작곡을 중단하 고 대중적 장르인 쉬운 ‘노래’로 양식변화를 한 것에 주목하였다. 1980년대의 비판적 현실을 민중 과 소통하기 위한 그의 노래 작곡은 음악과 삶의 관계성을 중시하는 그의 현실결부적인 음악관에 따른 것이다. 군사정부가 물러난 1990년대에 그의 예술가곡 작곡은 다시 시작된다. 이 시기의 가 곡 작곡에서도 이전 시기의 가곡 작품들과 구별되는 양식변화가 나타난다. 1970년대의 작품들에 서 존재론적이고 자아탐구적인 시적 내용이 두드러지는 것에 반해, 1990년대 이후의 작품들에서 는 공동체와의 공유적 감성이 강화되어 있으며, 양식적으로도 단순화된 경향을 보인다. 이건용은 음악의 가치를 작품의 완결성보다는 공동체적인 삶과의 상호관계 속에서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되어감’의 과정에서 파악한다. 그의 노래와 가곡 작곡에 나타난 양식변화는 이러한 ‘되어감’의 과 정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sheds light on how Geon-Yong Lee transitioned from composing Art Songs to creating popular and easy “songs” in response to the historical realities of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His shift in songwriting aimed to convey the critical realities of the 1980s period to the public, aligning with his view of music as intrinsically linked to life. Following the deposition of the military government in the 1990s, Lee resumed composing Art songs, marked by stylistic changes that distinguish them from his earlier works. While his compositions from the 1970s focus on existential and self-exploratory themes, those from the 1990s onward emphasize communal and shared emotions. Stylistically, they tend to be simplified.

목차
1. 들어가는 글
2. 삶과 결부된 음악 추구
    2.1. 가곡에서 노래로
    2.2. 선율의 자족성 지양
3. 노래에서 다시 가곡으로, 그리고 초기 가곡과의 차이점
4. 나가는 글
참고문헌
저자
  • 김미영(독립 음악학자) | Miyoung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