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漢代 자전류의 頭衣 관련 어휘 연구 KCI 등재

Study on Vocabulary Related to Headwear in Han Dynasty Lexicon : So, Hanbok is not Hanfu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580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700원
中國學 (중국학)
대한중국학회 (Korean Association For Chinese Studies)
초록

본고는 고대 자전류를 중심으로 두의에 관련된 어휘를 정리하여 고대 중국의 두의 가 어떤 형태였고, 이것이 한국의 고대 두의와 어떤 차이를 가지는지 살펴보고자 하 였다. 복식문화는 그 사회의 문화 지표이자 시대적 역사성과 공동체의 의식을 계승 한 현실과 가장 근접한 문화적 상징이라고 할 수 있다. 문화는 결코 한 방향으로만 흐르지 않는다. 우리나라의 의복이 중국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었겠지만, 일방적 인 중국 복식문화의 수입에만 의존하였다고 생각할 수도 없다. 중국의 두의는 冠‧冕 과 巾에서 발전한 幘이 있고, 冠과 幘이 합쳐진 형태의 巾幘이 있다. 고대 유가 의례 에 관한 문헌에 자주 보이는 弁은 자형의 혼용, 弁 형태에 대한 설명의 상충 등 모 순점을 가지고 있다. 본고는 이를 자형과 고문헌 자료의 편찬 시기 등의 자료를 바 탕으로 한국의 고깔형 弁과의 융합 가능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vocabulary related to headwear (頭衣) centered around ancient records and to explore the form of headwear in ancient China and its differences from those in ancient Korea. In Korean ancient headwear(頭衣), “折風” is described in Chinese literature as ‘similar to “弁”’, ‘like a “幘” but without “後(收)”’, and ‘“冠” with bird feathers inserted’. None of these descriptions perfectly match those in China. It is speculated that when recording at the time, there was uncertainty in describing a style different from that of officials in China, so similar characters were used. Therefore, there is no doubt that ancient Korean attire differed from that of China. I argue that simply interpreting 弁 in ancient Chinese literature as 弁 is not appropriate. The reasons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it appears in texts such as 詩經, 尚書 and 周禮, it does not appear in texts such as 急就篇 and 爾 雅. Second, the 說文 considers 弁 as the predecessor of 冕. Third, there is a debate about the phonetic composition of 弁. Fourth, most of the works from the Warring States period were recompiled during the Han dynasty in clerical script. Fifth, there are conflicting records about the form of 弁. Therefore, I want to propose the possibility that 弁 evolved from a fusion of cultures from the nomadic peoples(胡) and Eastern Yi(東夷), resulting in the appearance of triangular(“goggal”) leather headwear during the late Han dynasty or the period of the Sixteen Kingdoms, which then mixed with items like the 通天冠 during the Han dynasty and transitioned into elaborate headwear.

목차
1. 서론
2. 漢代 자전류에 나타난 頭衣 어휘
    1) 頭衣 어휘의 字形 연변과 비교
    2) 冠
    3) 冕
    4) 幘
    5) 帽
    6) 弁
3. 한국의 고대 頭衣와 비교
    1) 折風
    2) 弁과 고깔
4. 결론
【참고문헌】
【논문초록】
저자
  • 나도원(부산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강사) | Na Do-Won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