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이 자아존 중감과 취업불안을 매개로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Process Macro를 적용하여 KCI 등재

The Effect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Self-esteem and Job-seeking Anxiety i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irline Service : With Process Macro Applie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642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3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이 자아존중 감과 취업불안을 매개로 진로준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 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충청 및 경기도 소재 항공서비스 관련 학과 대 학생 4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요 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모관리행동은 자아존중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모관리행동과 자아존중감은 취업불안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모관리행동과 자아존중 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취업불 안은 진로준비행동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 아존중감과 취업불안은 외모관리행동과 진로준비행동 간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취업불안을 낮 추고 진로준비행동 강화를 위해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진 로준비 과정에서 직업에 적합한 이미지를 찾고 이에 대한 외모관리행동 을 한다면 취업역량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effect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the medium of self-esteem and job-seeking anxiety i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irline service.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ly,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has positive effect on both self-esteem. Secondly,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self-esteem has negative effect on job-seeking anxiety. Thirdly,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self-esteem posi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ut job-seeking anxiety has nega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Lastly, Self-esteem and job-seeking anxiety have mediating effect betwee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refore, When college students have images fit for jobs they want and carry out right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in the process of career preparation, it will definitely help increase employment competenc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외모관리행동
    2. 자아존중감
    3. 취업불안
    4. 진로준비행동
    5. 자아존중감과 취업불안의 매개효과
Ⅲ. 연구 방법
    1.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설문지 구성
    2. 조사설계 및 분석방법
Ⅳ. 분석결과
    1. 표본추출과 표본의 일반적 특성
    2.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 검정결과
    3. 연구변수 기초분석
    4. 가설검증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유정화(중부대학교) | Junghwa You (Joongbu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