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나무 모습 연화문에 관한 연구 -금관 금동관·기와·도자기를 중심으로- KCI 등재

A Study on Tree-shaped Lotus Patterns Focusing on Gold Crowns, Gilt-bronze Crowns, Roof Tiles, and Buncheong Porcelain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672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12,000원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예술연구))
초록

우리 겨레는 삼국시대부터 줄곧 나무 모습 연화문을 단독 문 양으로 또는 산·봉황·집·등 여러 물상과 어우러진 ‘신산 세계(별 천지·낙원·이상향)’를 구성하는 중요 문양으로 표현하였다. 나무 모습 연화문도 여느 연화문처럼 다른 모습 연화문과 함께 표현 되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그 표현 당시 연꽃으로 인식한 분명한 증거이다. 삼국시대의 나무 모습 연화문은 고구려 기와·삼국의 금관·금동 관의 입식·백제 무령왕릉 출토 은잔 등에 있는데 대부분 직립에 좌우 대칭인 모습이다. 필자는 이 모습을 첫째 신석기·고조선(청 동기)시대 청동 거울이나 팔주령 등에 있는 중앙・중심에서 외곽 으로 전개된 태양문의 계승, 둘째 연꽃을 비롯한 식물의 보편적 모습 즉 위로 성장하고 좌우로 가지를 뻗는 모습, 셋째 중앙·중 심과 좌우로 구성되는 세 갈래 모습의 구현(具顯)으로 본다. 그리고 기존 학계에 나무 모습으로 널리 알려진 금관·금동관의 ‘산자 모양(山字形)’을 포함한 입식(立飾)들도 필자는 나무 모습 이 아닌 매우 분명한 연꽃 모습 또는 나무 모습 연꽃으로 본다. 고려·조선시대의 도자기나 기와 등에서 나무 모습 연화문은 가 지와 줄기가 많고 연꽃봉오리와 잎사귀 모습이 뚜렷하게 분화· 구분된 모습이 많다. 이들 중 일부는 일제 강점기 때 모란문 또 는 국화문이란 잘못된 이름이 부여되었다. 조선시대 도자기 중에 가지와 줄기가 앙상하고 꽃잎이나 잎사 귀 모습이 없는 앙상한 나무 모습 연화문이 있다. 이들도 직립에 좌우 대칭됨이 분명하다. 이는 삼국시대 이래 나무 모습 연화문 이 뚜렷하게 전수(傳授)된 증거이다. 이 모습의 연화문은 기·생 장(연화화생 포함)의 몇 과정·단계를 통하여 탄생, 완성되었다. 그 돌기 또는 돋고 솟구친 부위는 크고 작은 연판 즉 연꽃잎에 해당이 된다. 도자기에 표현한 나무 모습 연화문을 포함한 연화문은 임진왜란 이후 대부분 사라졌다. 선사시대부터 내려온 우리 겨레의 이 귀중한 전통이자 중심 문양 표현이 아쉽게도 사라진 것이다. 그 대신 이후 도자기에는 사물(정물), 산수, 신선 사상을 담은 문양 이나 그림이 차지하였다. 수요층의 기호 변화, 사상 변화 특히 유학적 사고(예를 들면 간결과 질박함을 추구)가 원인이다. 반면에 기와, 건축(단청 포함), 목가구 등에서는 대체로 간단한 모습의 연화문들이 조선시대 후기까지도 답습되며 지속되었다. 가지와 줄기가 있는 나무 모습 연화문이나 치밀한 연화문 모습 은 거의 사라진 상태이다 이 논문을 계기로 나무 모습 연화문을 포함한 다양한 연화문 이 우리 겨레의 오랜 전통 표현을 담은 고유의 독자적 중심 문양 이었다는 사실, 삼국시대부터 단독 문양으로 또는 산·봉황·집·등 여러 물상과 어우러진 ‘신산 세계((神山世界: 별천지·낙원·이상 향)’의 중심 문양으로 전승되었다는 사실 등이 널리 알려지기를 고대한다.

Since the Three Kingdoms Period of Korea, our people have expressed the tree-shaped lotus pattern as an independent pattern or as an important pattern constituting the‘sacred mountain world (神山世界)’that is harmonized with various objects such as mountains, phoenixes, houses etc. The mountain is another world that is a strange, mysterious, spiritual, exotic, and fantastic. This immortal world includes paradise and utopia and is sometimes represented only by mystical flora and fauna without the mountain background. Similar to other lotus patterns, tree-shaped lotus patterns are often expressed together with various types of lotus patterns. This is clear evidence that the tree-shaped lotus flower was recognized as a lotus flower at the time of its production. The tree-shaped lotus pattern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is characterized byupright and symmetrical to the left and right, as seen in roof tiles of Goguryeo, outstretched ornaments[立飾] of gold crowns and gilt-bronze crowns of the Three Kingdoms, and silver cups excavated from the tomb of King Muryeong of Baekje. First, this pattern is the succession of the sun pattern extending outward from the center on bronze mirrors and Paljuryeong during the Neolithic and Gojoseon (Bronze Age) periods. Second, it is regarded as theuniversal appearance of plants, including lotus flowers, growing upward and branching out to the left and right. Third, it is seen as the materialization[具顯] of a three-pronged shapeconsisting of the center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nter. Moreover, in this study, outstretched ornaments of the gold and gilt-bronze crowns including the‘mountain shape[山字 形],’which is widely known as a tree in previous academic researches, is naturally considered as a tree-shaped lotus pattern. In ceramics and roof tiles from the Goryeo and Joseon periods, tree-shaped lotus patterns have many branches and stems, and there are many clearly differentiated shapes of lotus buds and leaves in them. Some of these were given the incorrect name of peony patterns or chrysanthemum pattern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mong Buncheong ceramics and white porcelain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there is a tree-shaped lotus pattern that resembles a bare tree with bare branches and stems and no petals or leaves. The pattern clearly shows that it is upright and symmetrical. This must be evidence that the tree-shaped lotus pattern was handed down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his type of lotus pattern was created and completed through several processes and stages of energy[氣], and growth[生長] including lotus flower rebirth. The outstretched or raised parts of the tree-shaped lotus pattern correspond to large and small lotus petals, or lotus leaves. Most of the lotus patterns, including the tree-shape lotus pattern depicted on Joseon ceramics in the early 16th century, disappeared after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This is a regret that the expression of precious traditional patterns that have been handed down since prehistoric times has disappeared. Instead, later ceramics were dominated by objects(still life), landscapes, and patterns or paintings that expressed immortal or Taoist ideas.Changes in consumers' tastes and ideologies are believed to be the cause, especially Confucianism, which pursues unadornment and simplicity. Meanwhile, relatively simple lotus patterns continued in its traditional form on roof tiles, architecture(including wooden structure and Dancheong design), and wooden furniture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However, tree-shaped lotus patterns with branches and stems or the detailed lotus patterns have almost disappeared.

목차
Ⅰ. 머리말
Ⅱ. 나무 모습 연화문이 생긴 배경 및 그 기본 모습
Ⅲ.고려·조선시대 도자기에 표현한 나무 모습 연화문
    1. 모란문으로 잘못 불리는 나무 모습연화문
    2. 국화문으로 잘못 불리는 나무 모습 연화문
    3. 색을 달리하며 표현한 나무 모습 연화문
    4. 꽃잎·잎사귀가 없는 앙상한 나무 모습 연화문<
Ⅳ. 삼국∼조선시대 기와에 표현한 나무 모습 연화문
Ⅴ. 삼국시대 금관·금동관에 표현한 나무 모습 연꽃
    1. 연꽃 모습인 금관·금동관의 예
    2. 나무 모습 연꽃인 금관·금동관 예
    3. <‘산자 모양(山字形)’ 나무 모습 연꽃>인 금관·금동관 예
Ⅵ. ‘신산 세계(神山世界)’ 속 나무 모습 연화문
Ⅶ. 기타 나무 모습 연화문몇 예와 그 해석
Ⅷ. 결론
<參考文獻>

저자
  • 조원교(前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관) | Jo Wongyo (Former Curator, National Museum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