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nside and Outside Walls and Chihiro Fortresses of the Unified Silla Period
통일신라시대의 석성이란 무엇인가. 삼국시대와 고려시대 석성과는 어떤 다른 점이 있는 것인가. 결국 기준이 되는 것은 석축으로 쌓은 성벽과 출토유물의 조합일 것이다. 유물이 어 떤 층위와 맥락속에서 출토되었는지도 중요한 점이다. 이 논문은 통일신라시대 서울·경기 지역에 분포한 12개 석성을 분석 유적으로 삼았고, 외벽, 기단보축, 보축성벽, 치성, 출토유 물과 층위를 종합적으로 파악해 통일신라시대 석성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 중에서 가장 주목되는 것은 보축성벽이며, 서울·경기지역 통일신라시대 석성에서 새 롭게 나타나는 특징 중에 하나라고 알려져 있다. 보축성벽의 출현은 아마도 삼국이 통일된 이후 방어적인 기능과 성곽의 위계를 나타낼 수 있는 기재가 필요했을 것이다. 이는 서울· 경기지역의 중심 지역인 한산주(한주)의 주성인 이성산성에서 가장 치석이 잘 되고, 형태적 으로도 견고하고 미적으로 뛰어난 보축성벽이 이를 말해 주는 것 같다. 보축성벽과 함께 치성 변화가 있다. 계단형 보축성벽의 축조방식을 치성의 하단부(기단) 에 적용하고 상단부터는 수직기둥홈에 나무를 세워 상단부 외벽을 수직으로 쌓은 치성이 등 장한다. 이러한 치성은 아차산성 3차 치성에서 등장하고 이후 계양산성 치성(고려시대)으로 이어진다. 이번 분석 대상에서 빠진 서울·경기지역의 석성과 더 나아가 통일신라 한산주(한주)의 영역까지 차후 분석하여 통일신라시대의 석성 특징과 변화의 원인을 밝혀보고자 한다.
What was Seokseong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the stone fortress of the Goryeo Period? In the end, the standard is the combination of stone walls and excavated relics. It is also important to know what stratum and context the relics were excavated in. This paper tri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one fortress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by comprehensively identifying the outer wall, base base treasure building, Boseong wall, pheasant fortress, excavated relics and stratum. Among them, the most notable is the Boseong Fortress Wall, which is known to be one of the new characteristics of the stone fortresses of the Unified Silla Perio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appearance of Boseong Fortress Wall probably required a description that could show defensive functions and the rank of the fortress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countries. This seems to be true of the best tartar, solid form, and excellent aesthetically pleasing Boseong Fortress in Iseongsanseong Fortress, the main castle of Hansanju, the central area of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long with the Boseong wall, there is a change in the administrative nature.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tair-shaped Boseong wall is applied to the lower part of the pheasant castle, and from the upper part, a pheasant castle with a tree built in a vertical column groove and a vertical outer wall appears. These pheasant castles appear in Achasanseong Fortress 3 and then continue to Gyeyangsanseong Fortress (Goryeo period). We would like to analyze the areas of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hich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and the areas of Unified Silla and Hansanju,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and reasons for the change in the Unified Silla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