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nterpretation Method of Roof Tiles Excavated from Fortresses of the Unified Silla Period
본 고의 주제는 통일신라시대 성곽에서 출토되는 기와의 해석 방법에 대한 고찰이다. 기와는 타 유물에 비해 출토량이 대량인 점, 용도가 다양한 점, 사용 기간이 장기간인 점, 여러 단계의 기와가 동시에 폐기되는 점, 재사용과 재활용의 문제 등 고고자료로서의 기와 가 가진 특수성으로 인해 통시적·공시적 해석에 난점이 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출 토 맥락이 명확한 일부 유적의 출토 사례와 기존의 기와 분석 연구 성과 등을 토대로 통일신 라시대 성곽 출토 기와의 해석 방법을 고찰해 보았다. 동래고읍성지의 기와 출토 사례를 통해 토성 초축의 상한 연대는 8세기대, 1차 수축은 9 세기대로 추정되고, 지구별로 축조 시점이 상이할 가능성을 제기할 수 있었으며, 수축 과정 에서의 기와 재활용 사례를 확인할 수 있다. 기와의 재활용에 대한 해석은 성곽이나 건물지의 여러 출토 사례로 볼 때 유적의 폐기에 이어진 자연 탈락으로 인한 퇴적이나 산포와 구별하기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으며, 이에 따 라 ① 시기의 한정성, ② 타 유물 혼입 여부, ③ 기와의 잔존상태, ④ 해당 층위 외의 퇴적층 에 포함된 기와 및 폐기 시점의 기와 노출상태와의 비교 등을 고려해 출토 맥락과 용도(자연 폐기 또는 재활용)를 해석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성곽에서의 평기와 사용을 위계의 반영으로 해석하는 문제는 기와의 사용 유무에 따른 상대성, 장식기와 사용 여부에 따른 상대성이 있으므로 인접한 동 시기 유적과의 상대적인 비교 분석이 필요하며, 사례로 부산 배산성과 낙민동유적의 출토 기와 양상을 비교하여 거 칠산군의 치소로서 가진 배산성의 성격이 사회·경제·문화의 중심이라기보다는 행정·군 사적인 거점으로 해석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출토 기와의 특징에 대한 해석 방법은 기존의 평기와 분석법에 더해 삼국~통일신라시대 의 평기와 제작법 전개를 4단계로 제시하였고, 특히 통시적인 해석에 가장 중요한 속성인 타날판 크기의 오독 사례로 아차산성과 배산성을 들고, 타날판 복원의 구체적인 사례를 제 시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methods for interpreting roof tiles excavated from fortresses dating back to the Unified Silla period. Due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roof tiles as archaeological artifacts—such as their large quantities compared to other relics, diverse uses, extended periods of usage, the simultaneous disposal of tiles from various stages, and issues related to reuse and recycling—there are significant challenges in conducting both diachronic and synchronic analyses. Taking these considerations into account, I have examined the methods for interpreting roof tiles excavated from fortresses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by analyzing case studies with clear excavation contexts and drawing on existing research findings related to roof tile analysis. Through the case study of roof tile excavations at the Dongnae Old Fortress site,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at the upper limit of the initial construction of the earthen fortress dates to the 8th century, while the first repairs is likely from the 9th century. The findings suggest the possibility of different construction timelines across various sections of the fortress and provide evidence of roof tile recycling during the repair process. The interpretation of roof tile recycling presents challenges, particularly in distinguishing between natural dislodgement and scattering due to site abandonment and intentional reuse, as suggested by various excavation cases from fortress walls and building remains. To address this issu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factors such as (1) the limited period, (2) the presence of other mixed artifacts, (3) the preservation state of the tiles, and (4) comparisons with tiles found in other stratigraphic layers and their exposure state at the time of disposal. These considerations should guide the interpretation of the excavation context and the intended use of the tiles, whether they were naturally discarded or recycled. The issue of interpreting the use of flat tiles in fortresses as reflecting hierarchical status requires a comparative analysis with contemporary sites, considering the relative presence or absence of tiles and the use of decorative tiles. For example, a comparison of the roof tiles excavated from the Bae Mountain Fortress in Busan and the Nakmin-dong site suggests that Bae Mountain Fortress, as the administrative center of Geochilsan-gun, should be interpreted not as a center of socio-economic and cultural activity, but rather as an administrative and military hub. The method of interpreting the characteristics of excavated roof tiles builds upon the existing analysis of flat roof tiles and introduces a four-stage development of flat tile production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o the Unified Silla period. Notably, the study highlights misinterpretations of the size of the paddle board, a critical attribute for diachronic analysis, using the examples of Achasanseong and Baesanseong, and presents specific cases of paddle board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