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장애인이 운전할 수 있도록 차량을 개조할 때, 차량 개조에 필요한 품목과 제품군을 확인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 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정부 주도의 장애인 차량 개조 지원이 확대될 수 있도록 하여 국내 장애인의 자가운전이 활성 화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장애인 차량 개조 알고리즘의 개발은 설계, 작성, 검토 단계로 수행되었다. 설계 단계에서는 알고리즘의 개발 방향성을 결정하기 위한 전문가 집단 심층 토의를 진행하였다. 이후 수행한 작성 단계에서는 이전 단계에서 결정한 개발 방향성을 토대로 델파이조사를 수행하여 알고리즘을 도출하였다. 마지막 검토 단계에서는 이전 단계에서 도출된 알고리 즘의 전반적인 내용을 검토하기 위한 전문가 집단 심층 토의를 진행하였다. 결과 : 연구 결과물로 운전활동영역 3개, 운전활동 11개, 제품군 19개를 적합하게 배치한 장애인 차량 개조 알고리즘이 개 발되었다. 알고리즘의 안정도 평균은 0.13으로 일치도가 매우 높게 확인되었으며, 내용타당도 평균은 1.0으로 매우 타당 도가 높게 확인되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물인 장애인 차량 개조 알고리즘이 장애인의 자가운전을 활성화할 수 있는 촉매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를 바탕으로 국내에서 장애인의 이동권이 한층 더 향상되기를 바란다.
Objective : When tuning a car so that the disabled can drive, we intend to develop an algorithm that can identify the product line required for car tuning. Through this, the government-led support for car tuning for the disabled can be expanded so that self-driving of the disabled in Korea can be activated. Methods : Algorithm development was carried out in the stages of design, creation, and review. In the design phase,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algorithm.. In the creation stage that followed, a Delphi survey was conducted to create an algorithm based on the algorithm development direction. In the final review phase, FGI was conducted to review the overall content of the algorithm created in the previous phase. Results : As a result of the study, a car tuning algorithm for the disabled was developed that appropriately arranged 3 driving activity areas, 11 driving activities, and 19 product line. The stability of the algorithm was confirmed to be very consistent at 0.13, and the CVR was very valid at 1.0. Conclusions : The car tuning algorithm for the disabled, which i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act as a catalyst to activate self-driving for the disabled, and based on this, it is hoped that the right to move the disabled in Korea will be further impro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