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를 이용하고 있는 수급자를 대상으로 복지용구 이용 실태와 복지용구사업소 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도를 파악하여, 수급자가 원활하게 복지용구를 이용할 수 있도록 복지용구급여 이용 과정의 서비 스 및 복지용구사업소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를 이용하고 있는 수급자 343명 및 가족을 대상으로 우편과 전자메일을 통해 설문조 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SPSS 20.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전체의 30.3%가 복지용구급여를 이용하지 않고 있었고, 그 이유는 복지용구급여 이용 방법을 모르거나 필요한 물 품이 없어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용구급여로 지급된 복지용구 중 현재 사용하지 않는 복지용구가 1개라도 있는 경우 가 응답자의 80.3%였고, 미사용 이유는 필요하지 않거나, 사용이 불편해서 혹은 사용 효과가 충분하지 않아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용구급여 이용 과정과 복지용구사업소에 대한 주요 요구 사항은 복지용구에 대한 정보 제공, 상담 및 평 가, 모니터링 등의 서비스 제공이었다. 결론 : 연구 결과로 나타난 수급자 및 가족의 요구 반영을 위해서는 복지용구사업소의 정보 제공, 상담 및 평가, 모니터링 및 관련 기능이 강화되어야 하며, 복지용구급여 이용 과정에서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서비스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 다. 본 연구 결과는 노인장기요양보험 복지용구급여 과정에서 수급자와 보호자에 대한 맞춤형 정보 제공 및 복지용구 관 련 서비스를 개선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status of welfare equipment use and satisfaction and demand for welfare equipment office for recipients using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and to suggest ways to improve services and welfare equipment office so that recipients can use equipment smoothly. Methods : A survey was conducted by mail and e-mail on 343 recipients and their families using home care benefits for the elderly,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PSS 20.0. Results : It was found that 30.3% of the total did not use welfare equipment benefits, and the reason was that they did not know how to use welfare equipment benefits or did not have necessary items. 80.3% of the respondents found that there was even one welfare equipment that was not currently used, and it was found that reason for not using it was not necessary, it was uncomfortable to use it, or the effect of using it was insufficient. The main requirements for the process of using welfare equip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welfare equipment were to provide services such as information on welfare equipment, counseling and evaluation, and monitoring. Conclusions : In order to reflect the needs of recipients and families as a result of the study, information provision, counseling and evaluation, monitoring, and related functions of welfare equipment office should be strengthened, and it was found that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needs to strengthen services in the process of using welfare equipment benefi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provide customized information to recipients and guardians in the process of welfare equipment benefits for the elderly long-term care insurance and to improve services related to welfare equi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