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본 연구는 치매 노인의 사회참여 향상을 위한 작업치료 중재를 적용한 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중재의 효과 및 종류, 평가도구를 분석하고 작업치료 임상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정립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14년부터 2024년까지의 문헌을 RISS, Pubmed, Embase를 통해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어로는 “치매(dementia)”, “사회적 활동(social activity)”, “여가활동(leisure activity)”, “놀이 활동(play activity)”, “사회적 상호작용 활동(social interaction activity)”, “지역사회 기반 활동(community based activity)”, “사회참여(social participation)”, “작업치료(occupational therapy)”가 사용되었다. 선정 및 배제 기준에 따라 최종적으로 9편의 연구를 선정하였다. 결과: 연구의 질적 수준, 비뚤림 위험, 중재의 종류, 중재의 효과, 평가도구를 확인하였다. 선정된 연구는 대부분 높은 질적 수준과 낮은 비뚤림 위험을 가지고 있었다. 중재의 종류는 크게 다섯 가지로 분류되었고 작업 및 활동 기반 접근과 인지 작업치료가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었다. 선정된 모든 문헌에서 작업치료 중재가 치매 노인의 사회참여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사회적 활동과 수단적 일상생활활동의 향상이 두드러졌다. 총 23가지의 평가도구가 사용되었는데, 캐나다작업수행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과 사회행동척도(Social Behavior Scale)가 가장 높은 활용 빈도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작업치료 중재가 치매 노인의 사회참여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임상 활용의 근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 This article aimed to systematically review studies on occupational therapy to improve social participation in older adults with dementia to elucidate associated intervention types, effects, and assessment tools. Methods: Literature published from 2014 to 2024 was searched using RISS, PubMed, and Embase. The main search terms included “dementia”, “social activity”, “leisure activity”, “play activity”, “social interaction activity”, “community based activity”, “social participation” and “occupational therapy”. Nine studi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Results: The selected studies showed high quality and a low risk of bias. The interventions were mainly occupational or activity-based, and cognitive occupational therapy was commonly employed. All studies reported that occupational therapy improves social participation, highlighting improvements in social activities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Overall, 23 assessment tools were used, with the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and Social Behavior Scale being the most frequently used tools.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therapy in improving social participation in older adults with dementia, thereby providing valuable insights for clinical prac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