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건강상태와 생활환경이 사회참여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고, 그 영향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인 천, 경기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노인복지관, 노인회관, 경로당 이용 노인과 지역사회에 거 주하는 65세 이상 거주노인 353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방법은 SPSS WIN 25.0과 AMO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의 건 강상태와 생활환경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지 않고 직접 효과로서 사회참여활동을 높 이는 변인이 됨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 째, 노인복지정책의 주요 대상자인 노인의 특성과 초고령사회를 직면함에 따른 다양한 건강상태 욕구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복지 수요를 이해하고, 사회참여활동으로서의 사회 서비스와 제도적 지원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초고령사회를 눈앞에 둔 우리나라 사회적 문제의 대응 차원에서 노인의 생활환경에서 물리적 환경의 개선과 사회참여활동 의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한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건강해지는 우리나라 노인들 의 특성과 원인을 파악하여 경제⋅여가⋅봉사 등의 자립적인 사회참여활동을 독려할 수 있는 제도적 지원과 노인의 자아존중감을 증진 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의 모색이 필요 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elderly's health status and living environment on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s. To this end, a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353 elderly people aged 65 years or older living in the community and the elderly using welfare centers for the elderly, senior centers, and senior citizen centers located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As for the research method,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WIN 25.0 and AMOS 25.0 program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health status and living environment of the elderly are variables that increase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as a direct effect, not through self-esteem.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presented. Firs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ho are the main targets of welfare policies for the elderly, and the welfare demand to respond to the changes in various health conditions and needs as they face a super-aged society, and to make efforts for social services and institutional support as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 Second, social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guarantee accessibility of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in the living environment of the elderly in response to social problems in Korea, which is facing a super-aged society. Third, it is necessary to seek institutional support that can encourage self-reliant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such as economy, leisure, and volunteering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and causes of the elderly in Korea who are getting healthier, and various measures that can enhance the self-esteem of the elder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