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독서토의활동을 통한 생활지도 및 상담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에게 주는 의미탐색 KCI 등재

Exploring the Significance of Life Guidance and Counseling Classes Through Book Reading Discussion Activitie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863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미래교육연구 (The Journal of Future Education)
한국미래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of Future Edca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동화 유아교육학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동화책 활용 독서토의 기반 생활지도 및 상담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에게 주는 의미를 탐색하고 그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소재 대학 유아교육과 학사학위 교직 과정으로 개설된 생활지도 및 상담 교과목을 수강하는 대학생 61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동화책을 활용한 독서토의 생활지도와 상담 수업 과정에서 연구참여자들이 작성한 보고서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근거이론(grounded theory)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 과, 독서 토의를 통한 생활지도와 상담은 예비 교사들에게 공감을 토대로 한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형 성하고, 의사소통의 키워드와 주제를 제공하며, 긍정적인 변화로 안내하는 실천적 의지를 형성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동화책을 활용한 독서 토의 활동이 예비 교사교육 현장의 정서적, 인지적, 실천적 영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독서 토의 활동을 통한 교사교육은 예비교사의 교육적 역량 을 강화하고, 유아교육의 생활지도와 상담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다.

This study explores the significance and impact of life guidance and counseling classes utilizing book reading discussion activities specifically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61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a Bachelor's degree teacher education program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university in Seoul. The study collected data through reports written by the participants during the course of life guidance and counseling classes using picture books and analyzed it us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The results indicate that life guidance and counseling through book discussions were effective in fostering a natural atmosphere of empathy, providing communication keywords and themes, and forming practical intentions toward positive change among pre-service teachers. The study demonstrates that book discussion activities play a crucial role in enhancing the emotional, cognitive, and practical aspects of teacher education, strengthening the educational capabilities of pre-service teachers, and having a positive effect on life guidance and counsel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목차
요 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참여자
    2. 연구 절차 및 내용
    3. 자료 수집 및 분석
Ⅲ. 연구 결과
    1. 개념 도출: 개방코딩(Open Coding)
    2. 주요 범주 구성: 축코딩(Axial Coding)
    3. 패러다임 구조: 선택코딩(Axial Coding)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정유진(경기대학교 자유교양대학 교직학부 겸임교수) | Jeong Yu J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