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레이 올덴버그의 제3의 공간 이론에 의한 도시 문화 공간 사례 분석 : 춘천시 '도시가 살롱' 사업을 중심으로 KCI 등재

An Analysis of Urban Cultural Spaces through Ray Oldenburg's Third Place Theory : Focused on the 'City as Salon' Project in Chuncheon Cultural C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881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4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춘천 문화도시 사업의 '도시가 살롱'을 올덴버그(Ray Oldenburg)의 '제3의 공간' 이론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공간의 특성과 효과를 고찰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질적 내용분석을 채택하여 문헌조사 를 중심으로 정책문서, 운영자료, 성과보고서 등을 수집하였다. 분석 결 과, ‘접근성’ 측면에서, '도시가 살롱'은 카페, 책방, 식당 등 시민들의 일 상공간을 문화공간으로 전환함으로써 접근성을 확보하여 생활권 내 문화 접근성을 향상시켰다. 둘째, ‘편의성’ 측면에서, 복합공간 구성과 통합 플 랫폼 운영을 통해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를 실현했으며, 멤버십 시스템과 월 60여 개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이용 편의성을 높였다. 셋째, ‘평등성’ 측면에서 세대 통합형 프로그램, 수평적 공간구조, 'ON-다' 프 로그램 등을 통해 읍면 지역의 문화 격차 해소에 기여했다. 넷째, ‘상호 작용성’ 측면에서 시민기획자 중심의 운영으로 이웃 간 관계망을 강화했 고, '동네지식인' 프로그램을 통해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와 교류를 촉진 했다. 다섯째, ‘유희성’ 측면에서, '딴짓' 키워드를 활용한 창의적 접근으 로 유희성을 구현했으며, 여섯째, ‘다양성’ 측면에서, 8개 거점 공간의 차별화된 운영과 지역특화 프로그램으로 문화적 다양성을 확보했다. 그 러나 읍면 지역의 접근성 강화, 장애인과 노약자를 위한 편의시설 확충, 문화적 소수자들의 참여 확대,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형성, 디지털 전환 대응 그리고 민간의 주도적 운영이라는 과제가 도출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Chuncheon's 'City Salon' project through Oldenburg's Third Place theory. The research use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of policy documents and operational reports. In terms of accessibility, the project transformed everyday venues like cafes and bookstores into cultural spaces within residential areas. For convenience, it established an integrated platform with a membership system offering 60 monthly programs. The project promoted equality by addressing cultural disparities through intergenerational programs and the 'ON-da' initiative. Community interactivity was enhanced through citizen-led planning and the 'Neighborhood Expert' program, while playfulness was incorporated through creative 'Distraction' activities. The project achieved diversity through eight distinct hub spaces with specialized local programming. Despite these successes, challenges remain in areas such as rural accessibility,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nd elderly, minority participation, community sustainability, digital adaptation, and private sector engagement.

목차
논문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문화도시 사업의 문화공간화
    2. 문화도시 춘천
    3. 제3의 공간 이론과 도시 살롱문화의 상관관계
Ⅲ. 연구 방법 및 분석
    1. 연구 대상
    2. 연구 문제
    3. 연구 방법 및 자료 수집
    4. 분석 결과
Ⅳ. 소결
    1. 기대 효과
    2. 개선 사항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
  • 김기창(홍익대학교) | Kee-Chang Kim (Hongik University)
  • 박종은(홍익대학교) | Jong-Eun Park (Hongik University)
  • 김선영(홍익대학교) | Sun-Young Kim (Hongik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