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년남성의 가족건강성과 중년기 위기감 간의 관계 - 의사소통능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ngth and Middle-aged Adults on Their Mid-Life Crisis: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Ability and Self-Efficac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885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800원
한국문화복지콘텐츠연구 (The journal of Korean culture & welfare contents)
한국문화복지콘텐츠학회 (Korean Cultural Welfare Contents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는 중년기 남성의 가족건강성이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의사소통능력 과 자기효능감에 대한 매개효과 규명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전국 중년기 남성 559명을 SPSS 24.0과 AMOS 21.0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년기 남성의 가족건강성의 평균은 3.862점 의사소통능력은 평균 3.762점 자기 효능감은 평균 2.220점, 중년기 위기감은 평균 2.748점으로 나타났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남성의 가족건강성은 중년기 위기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년기 남성의 가족건강성과 중년기 위기감의 관계 에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는 정적인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중년기의 가족건강성과 위기감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유의한 매개효과 는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의사소통능력과 자기효능감은 가족건강성과 중년기 위 기감과의 관계에서 유의한 이중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ediated effects of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efficacy in the effects of family strength in middle-aged adults on mid-life crisis. This study analyzed 559 middle-aged adults nationwide with SPSS 24.0 and AMOS 21.0.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average family strength of middle-aged adults was 3.862 points, and the a verage communication ability was 3.762 points, 2.220 points for self-efficacy, and 2.748 points for middle-aged adults. First, middle-aged adults's family strength has been shown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ir sense of crisis in middle-aged adults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ngth and middle-aged adults's sense of crisis was significantly shown in the positive mediating effect.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nth and sense of crisis in middle age. Fourth, communication skills and self-efficacy have been shown to play a significant double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nth and middle-aged crisis.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이론적 배경
    1.중년남성의 위기감
    2. 가족건강성 개념
    3. 의사소통능력과 자기효능감
    4. 선행연구고찰
Ⅲ. 연구방법
    1. 연구모형
    2. 측정도구
    3.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일반적 특성
    2.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3. 연구가설 검증
Ⅴ 결론
    1. 요약 및 논의
    2. 연구의 시사점
    3. 연구 한계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선영(칼빈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Kim Sun-Young
  • 정윤주(칼빈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