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년기 남성의 가족건강성이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의사소통능력 과 자기효능감에 대한 매개효과 규명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은 전국 중년기 남성 559명을 SPSS 24.0과 AMOS 21.0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년기 남성의 가족건강성의 평균은 3.862점 의사소통능력은 평균 3.762점 자기 효능감은 평균 2.220점, 중년기 위기감은 평균 2.748점으로 나타났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남성의 가족건강성은 중년기 위기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년기 남성의 가족건강성과 중년기 위기감의 관계 에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는 정적인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중년기의 가족건강성과 위기감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유의한 매개효과 는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의사소통능력과 자기효능감은 가족건강성과 중년기 위 기감과의 관계에서 유의한 이중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 중년남성이 심념처 명상수행의 어려움을 어떻게 경험하는지를 기술하고, 그의 심념처 명상수행 어려움에 대한 맥락적 의미를 설명하며, 그가 심념처에 관한 명상수행 상담을 통해 명상수행의 어려움을 어떻게 해결하고, 자신의 삶 속에서 심념처 명상을 어떻게 실천해나가는지를 내러티브 연구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연구 보고자는 심념처 명상수행을 하면서 지속되는 멍한 통증, 반복되는 탐심과 진심의 산란한 마음의 갈등, 그리고 알아차림의 대상에 대한 의구심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이러한 명상수행의 어려움은 어린 시절 아버지의 경제적 무능력으로 인한 강박적 불안과 위축감, 집안의 장남과 장손으로서의 의무적 부담감, 그리고 자신의 원하는 것과 주어진 상황에 순응하며 살아야 하는 것 사이에서 오는 심리적 갈등이라는 맥락적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설명되었다. 그는 사야도와의 명상수행 상담을 통하여 멍한 두통, 불안과 위축감이 치유되었고, 반복되었던 탐심과 진심의 산란한 마음의 갈등에도 적절히 대처할 수 있게 되었으며, 마음이 알아차려야 할 대상들에 대한 의구심도 해소되었다. 그는 마음 관찰 명상으로 하루를 시작하게 되었고, 이러한 마음 알아차림을 통하여 일상의 삶에서 다양한 정보들을 수용하여 그 중에서 적절한 것을 선택할 수 있게 됨으로써 조급하지 않고 여유 있는 삶을 살게 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심념처 명상수행에 관한 연구가 희소한 상황에서 중년남성의 생생한 심념처 명상수행 경험을 연구했다는 점이다. 둘째, 사야도와의 명상수행 상담을 통한 치유와 변화된 삶의 모습을 내러티브연구로 그 효과를 확인한 연구라는 점이다. 셋째, 실무적으로는 향후 심념처 명상수행 상담을 통한 심리적 고통해결에 관한 안내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nutrients intake, health indices, and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by occupation in middle-aged men, using results from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their occupation (Office worker (OW) and Agri-fishery worker (AFW)) and their percentages were 75.5% and 24.5% respectively. In health-related factors, drinking rate was higher in OW (p<0.001), while smoking rate was higher in AFW (p<0.001). Walking and strength exercise were both higher in OW group. In dietary behavior, the rate of skipping breakfast and eating out was higher in OW (p<0.001). Food supplement usage were consumed by OW more than AFW (p<0.001). Daily energy intake was higher in AFW (p<0.0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nutrient density per 1,000 kcal of minerals and vitamins between the two groups (p<0.05~p<0.001), except calcium, potassium, vitamin A and thiamin. In body weight, BMI, waist circumference and blood pressures, OW was higher than AFW (p<0.05~p<0.001). Whereas, HDL and LDL-cholesterol were higher in AFW (p<0.001). The prevalence of diabetes was higher in AFW (p<0.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data to establish nutrition and health strategies for occupation in middle-aged men.
본 연구는 제6기(2013년~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중에서 중년남성 882명을 대상으로 밀가루음식 주당 섭취빈도에 따른 건강관련요인, 영양소 섭취, 식행동, 건강지표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밀가루음식 저섭취군(54.0%)의 비율은 고섭취군(46.0%) 보다 높았다. 그리고 전체의 밀가루음식 주당 섭취빈도는 4.80회이었으며, 저섭취군(1.78회)과 고섭취군(7.83회)의 섭취빈도 간에 큰 차이를 보였다(p<0.001). 밀가루음식 종류별 섭취빈도를 보면 면류, 과자류, 빵류 순이었다.
2. 건강관련 요인에서 살펴본 월 1회 이상 음주 여부와 현재 흡연 여부, 스트레스 인지율, 1일 평균 수면시간, 1주일간 근력운동과 걷기 일수에서 밀가루 섭취빈도에 따른 유의적인 관련성과 차이는 없었다.
3. 1일 에너지 평균섭취량은 1,970.45 kcal이었고, 저섭취군 보다 고섭취군에서 약 630 kcal 정도 더 높았다(p<0.001). 그리고 고섭취군에서 상대적으로 당질 섭취비는 낮은 반면, 지방과 단백질 섭취비는 더 높았다(p<0.001). 무기질과 비타민의 1,000 kcal당 영양소 밀도에서 칼슘, 인, 나이아신을 제외하고,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칼륨, 철분, 비타민 A, 비타민 B1, 비타민 C에서는 저섭취군의 섭취가 더 많았던 반면, 나트륨, 비타민 B2에서는 고섭취군의 섭취가 더 많았다 (p<0.01, p< 0.001).
4. 식행동에서 1일 식사횟수는 밀가루음식 저섭취군에서 고섭취군에 비해 3회 비율이 더 높아 관련성을 보였다(p<0.05). 외식빈도는 저섭취군(46.9%)보다 고섭취군(43.2%)에서 더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구입 시 영양표시 이용 여부는 고섭취군(20.5%)이 저섭취군(15.7%)에 비해 더 이용하고 있었으나, 유의적인 관련성은 아니었다.
5. 건강지표에서 신장과 체중, 허리둘레 값이 고섭취군에서 더 높은 경향이 있었으나, 신장(p<0.01)에서만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총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에서 고섭취군이 저섭취군보다 더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1). 혈청 중성지방에서는 저섭취군이 고섭취군보다 10.5 mg/dL 정도 더 높은 값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었다.
본 연구결과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한 횡단면적 연구이어서 인과관계를 밝히기 어렵고, 밀가루음식 섭취량이 아닌 섭취빈도만을 가지고 연구를 행했다는 제한점이 있다. 그러나 대상자 선정에서 교란인자를 제외하였고, 통계분석에서도 보정함으로써 밀가루음식 섭취빈도와 영양소 섭취, 건강지표와의 차이를 독립적으로 측정하고자 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밀가루음식의 섭취가 계속 증가되고 있어 이에 대한 우려가 있다. 실제로 본 연구에서 밀가루음식을 자주 먹는 경우 에너지 영양소의 섭취는 더 많았던 반면 나트륨과 비타민 B2를 제외한 대부분의 무기질과 비타민의 섭취는 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건강지표에서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 농도가 더 높게 나타나 우려가 현실화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는데, 본 연구결과가 밀가루음식의 과잉 섭취 시 문제점을 알리는데 활용되었으면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nutrient intake, health-related factors, and risk factors for metabolic syndrome an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dds ratio according to fruit and vegetable intake among middle-aged Korean men. Subjects included 1,677 men aged 40–64 years. The average intake of fruits and vegetables was 578.48±5.90 g/day. Forty-nine percent of the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the deficient group based on the intake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the other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the adequate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trient density per 1,000 kcal of energy, minerals, vitamins, and dietary fiber between the fruit and vegetable intake groups (p<0.001). In terms of health-related factors, only the current smoking rate in the deficient group (57.9%) was higher than that in the adequate group (45.4%) (p<0.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isk factors for metabolic syndrome between the fruit and vegetable intake groups. Proportion of serum triglycerides (42.6%) was the highest at a rate that exceeded the criteria for risk factors for metabolic syndrome, but systolic blood pressure (21.7%) showed a very low rate. The fasting blood glucose, serum triglycerides,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eficient group than in the adequate group (p<0.05).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was 31.2%. OR for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related to fruit and vegetable intake was 1.270 times higher in the deficient group than in the adequate group (p<0.05). Also, when the daily fruit intake was increased by 100 g,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was reduced by 0.948 times but it was not related to the vegetable intak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to establish the guidelines for fruit and vegetable intake for prevention of metabolic syndrome in middle-aged men.
This study aimed to compare energy nutrient intake, health related factors, physical characteristics, blood biochemical indices,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odds ratio (OR) of metabolic syndrome based on dietary fat energy ratio. Subjects were 1,205 men aged 40~64 years. The average fat intake was 52.8 g.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deficient, normal, excess) based on dietary fat energy ratio. The dietary fat energy rations of the three groups were 36.9%, 42.9% and 20.2%, respectively. Energy and protein intake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dietary fat energy ratio (p<0.001), whereas carbohydrate intake decreased (p<0.001). In health related factors, amount of smoking alone showed increase based on dietary fat energy ratio (p<0.001). In comparing physical characteristics, blood pressure and blood biochemical indices, excepting diastolic blood pressure, increased significantly based on dietary fat energy ratio (p<0.01~p<0.001). The rate that exceeded criteria in risk factors for metabolic syndrome was higher in the serum triglyceride (41.2%) and was lower in the waist circumference (22.2%).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was 37.9%, and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to dietary fat energy ratio (p<0.05). The OR of metabolic syndrome was higher in deficient and excess group than in normal group, but it had no relationship between fat energy ratio and metabolic syndrom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basic data to establish fat intake guidelines for prevention of metabolic syndrome in middle-aged m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lacks patterns for middle-aged abdomen-obese adult males by using the 3D virtual-twin and virtual-garment simulation system. The criteria for subjects in this study were males who had over 25kg/m2 of BMI, over 90cm of waist, and over 0.90 of WHR. A total of 211 adult males who met these criteria were enroll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 new slacks pattern considerate of abdomen-obese men was development. The basic numerical formula were as follows: front and back hip girth H/4+3.5, front waist girth W/4+1+0.5, back waist girth W/4+1-0.5, front crotch extension H/16, back crotch extension H/8-0.5, front pleats amount 2.7, and back dart amount 1.5.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new slacks patterns appearance evaluation, the new slacks pattern scored more highly than the existing pattern in silhouette and ease amount, confirming that the new slacks pattern is appropriate for the abdomen-obese men. Also, the new slacks pattern was evaluated allowing proper space length of waist, abdomen and hip. Virtual models of production through data from a 3D body scan, pattern draft and virtual garment digital program were applied to a prototypic design method in order to enhance the fitness of ready-made garments. The use of the virtual twin made it impossible to comprehend the appearances and ease correspondent to motions. In order to evaluate wearing fitness, therefore, the system should be improved so as to change arm positions and perform various mo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