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자연치유연구 KCI 등재후보 The Journal of Natural Healing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제5권 1호(통권 제9호) (2020년 8월) 5

1.
2020.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명상심리상담사들의 영상관법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있다. 즉 연구참여자들의 영상관법 경험을 살펴보고 그 본질이 무엇인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7명의 연구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녹음자료를 직접 전사하여 축어록을 만들어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심층면담은 연구참여자당 3~4회, 1회당 1~3시간 정도가 소요되었고, 토즈와 같은 사설 모임 공간이나 연구참여자의 사무실에서 이루어졌다. 전사한 축어록을 Giorgi의 연구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8개의 구성요소와 19개의 하위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8개의 구성요소는 <삶에서 겪은 힘겨움>, <고통과의 직면>, <주저와 저항>, <심신의 치유와 통찰>, <도우려는 마음과 기대>, <상담자로서 느끼는 부족감>, <내담자의 긍정적 변화>, <영상관법에 대한 이해의 확장> 등이다. 연구결과, 연구참여자들의 영상관법 경험의 본질은 자기 돌봄과 성장의 의미를 갖는다. 내담자로서 경험한 영상관법은 삶의 고통을 해소하고 심신을 치유하고 통찰하는 과정을 통한 자신에 대한 돌봄의 경험이었고, 상담자로서 내담자의 변화를 도우면서 영상관법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는 성장의 경험이었다. 본 연구는 명상심리상담사들의 생생한 체험을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여 심층적으로 탐색하였고, 명상상담을 경험할 내담자와 상담자들에게 명상상담의 핵심기법인 영상관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연구의 제한점을 고려하여 후속 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을 추가하였다
4,800원
2.
2020.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 중년남성이 심념처 명상수행의 어려움을 어떻게 경험하는지를 기술하고, 그의 심념처 명상수행 어려움에 대한 맥락적 의미를 설명하며, 그가 심념처에 관한 명상수행 상담을 통해 명상수행의 어려움을 어떻게 해결하고, 자신의 삶 속에서 심념처 명상을 어떻게 실천해나가는지를 내러티브 연구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연구 보고자는 심념처 명상수행을 하면서 지속되는 멍한 통증, 반복되는 탐심과 진심의 산란한 마음의 갈등, 그리고 알아차림의 대상에 대한 의구심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이러한 명상수행의 어려움은 어린 시절 아버지의 경제적 무능력으로 인한 강박적 불안과 위축감, 집안의 장남과 장손으로서의 의무적 부담감, 그리고 자신의 원하는 것과 주어진 상황에 순응하며 살아야 하는 것 사이에서 오는 심리적 갈등이라는 맥락적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설명되었다. 그는 사야도와의 명상수행 상담을 통하여 멍한 두통, 불안과 위축감이 치유되었고, 반복되었던 탐심과 진심의 산란한 마음의 갈등에도 적절히 대처할 수 있게 되었으며, 마음이 알아차려야 할 대상들에 대한 의구심도 해소되었다. 그는 마음 관찰 명상으로 하루를 시작하게 되었고, 이러한 마음 알아차림을 통하여 일상의 삶에서 다양한 정보들을 수용하여 그 중에서 적절한 것을 선택할 수 있게 됨으로써 조급하지 않고 여유 있는 삶을 살게 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심념처 명상수행에 관한 연구가 희소한 상황에서 중년남성의 생생한 심념처 명상수행 경험을 연구했다는 점이다. 둘째, 사야도와의 명상수행 상담을 통한 치유와 변화된 삶의 모습을 내러티브연구로 그 효과를 확인한 연구라는 점이다. 셋째, 실무적으로는 향후 심념처 명상수행 상담을 통한 심리적 고통해결에 관한 안내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이다
4,500원
3.
2020.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재수 학원생활을 통하여 불안을 경험하는 3명의 재수생들이 명상상담의 전개 과정에서 어떻게 치유되고 새롭게 변화해 나가는지를 내러티브 연구 방법으로 살핀 것이다. 본 연구는 4가지의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1) 재수생들은 학원생활에서 불안을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가? 2) 재수생들의 불안 경험에 따른 맥락적 요인은 무엇인가? 3) 재수생들은 불안의 치유과정을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가? 4) 재수생들이 경험한 실천적 변화는 무엇인가? 1) 이들 재수생들은 각각 ‘시험불안’ ‘(학원에서) 내쫓겨날 것 같은 불안’ ‘타인의 시선 의식에 따른 불안‘을 경험하였다. 2) 재수생 불안의 맥락적 요인으로는 ‘심리적’ ‘가정 환경적’ ‘사회 환경적’ 차원에서 검토되었다. 3) ‘재수생 불안의 치유 과정‘에서 이들은 과거의 아픈 기억들을 재경험하면서 새로운 자각과 발견의 과정을 체험하였다. 이를 통하여 과거를 새롭게 해석하고 재구성하게 되었다. 4) 이들 재수생들은 ‘불안, 두려움의 사라짐’ ‘자기 주도적 학습으로 전환하게 됨’ 그리고 ‘새로운 관계 맺기라’ 는 실천적 변화 경험을 하게 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학원생활에서 불안을 경험하는 재수생들이 명상상담의 과정을 통하여 치유되는 경험을 내러티브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살핀 첫 시도이며 재수생들의 ‘불안’과 관련된 다층적 요인과 의미들을 탐색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4,000원
4.
2020.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연구참여자가 살아온 삶의 경험을 통해 겪고 있는 현재 고통의 원인과 맥락을 이해하고 명상상담을 통해 어떤 치유적 경험을 하였고 자신의 삶 속에서 어떻게 실천하며 살아가는지를 탐색하는데에 있다.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 중 우울과 스트레스를 경험하는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명상상담과 사회복지의 통합적 접근을 내러티브로 연구하였다. 연구기간은 2018년 3월부터 12월까지 이루어졌다. 명상상담의 수행절차는 호흡명상과 느낌명상, 영상관법의 명상적 기법과 상담기법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연구참여자의 개인적 상황이나 이해에 따라 역할극, 그림그리기, 자애명상 등의 기법도 함께 적용하였다. 자료수집은 연구참여자의 동의를 구한 상담녹음 축어록과 상담현장노트, 상담일지, 심리검사 체크리스트, 감사일기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참여자의 명상상담 경험에 대한 연구결과는 기술적, 설명적, 치유적, 실천적 내러티브인 4단계로 구성되었다. 연구참여자는 명상상담 경험을 통하여 부정적이던 생각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으며 자신의 고통을 이해하고 치유과정을 통해 고통으로부터 자유로워졌으며 주체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 현장에서 노인들의 심리, 정서적 치유를 돕는데에 명상상담이 유용했으며 명상상담과 사회복지의 통합적 접근으로서 의미가 있다고 보여진다. 아울러 복지현장의 다양한 대상자에게 유익하게 적용할 수 있다고 사료되며, 학제간 유연성과 확장성을 보여준 연구 자료로 새로운 시도가 될 수 있을 것이다.
4,600원
5.
2020.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chool of Chinese Medicine, Beijing University of Chinese Medicine Objective: To trace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medicinal tea formulas, explores the medicinal value of tea in the formulas to provide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practitioners with the idea of using tea in the formulas. Methods: This thesis combed through the medicinal tea formulas in the medical books of the past dynasties and explored the main indication, usage and preparation of the medicinal tea formulas. Results: Tea had the record with the medicinal effects in many herbal literatures. Doctors often used tea with other Chinese herbs together in the formulas. Conclusion: This kind of formula combining tea and Chinese herbs was called as “medicinal tea formula”. Medicinal tea formula had been standardized and formed during the Song Dynasty in China.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medicinal tea formulas from the Tang Dynasty to the Qing Dynasty can provide a reference for the treatment of many indications and improve the value of the medicinal tea formulas.
4,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