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서비스러닝 기반 교양 교과목의 만족도 모형에 관한 연구 - <미래사회와 디지털지식>을 중심으로 KCI 등재

A Study on The Exclusion Classification of Service Learning Based Liberal Arts Subjects : Focusing 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886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中國學 (중국학)
대한중국학회 (Korean Association For Chinese Studies)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전공교과목이 아닌, 기초학문과 지역사회의 필요를 연계하는 방식 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미래사회와 디지털지식’이라는 교양 교과목을 선택하여, 실생 활에 접근해 있는 스마트 폰 활용 교육이라는 학습 주제로 노인대학, 장애 기관 등 협력하여 서비스 러닝 활동을 진행하였다. 대학 교양 과목 강의에 실제 적용하고 있는 서비스러닝 기반 교양 교과목의 만족도 모형의 연구가설을 구축하여 서비스러 닝 기반 교과목 교수법 확대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러닝 기반 교양 교과목의 만족도 모형을 통해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 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만족도는 추천과 확대 적용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실증분석 결과, 서비스 러닝 교수법을 활용한 교육 봉사 활동이 자존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이는 수업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중요한 요 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 봉사활동 시간이 적절한 경우, 학생들 은 수업의 전반적인 만족도보다도 서비스 러닝 교수법이 적용된 교과목을 후배들에 게 추천하고 권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수업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 족한 학생들은 서비스 러닝 교수법의 확대 적용에 긍정적인 입장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목차
【초록】
1. 서론
2. 선행연구
3. 연구가설과 연구모형
    1) 수업 설계
    2) 연구가설
    3) 연구모형
4. 서비스러닝 기반 교양교과목의 만족도 모형 실증분석
    1) 자료
    2) 변수구성 및 기술통계량
    3) 상관관계 분석
    4) 경로모형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논문초록】
저자
  • 이명애(창신대학교 중국비즈니스학과 조교수) | Lee Myeong-Ae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