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2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전공교과목이 아닌, 기초학문과 지역사회의 필요를 연계하는 방식 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미래사회와 디지털지식’이라는 교양 교과목을 선택하여, 실생 활에 접근해 있는 스마트 폰 활용 교육이라는 학습 주제로 노인대학, 장애 기관 등 협력하여 서비스 러닝 활동을 진행하였다. 대학 교양 과목 강의에 실제 적용하고 있는 서비스러닝 기반 교양 교과목의 만족도 모형의 연구가설을 구축하여 서비스러 닝 기반 교과목 교수법 확대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러닝 기반 교양 교과목의 만족도 모형을 통해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 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만족도는 추천과 확대 적용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실증분석 결과, 서비스 러닝 교수법을 활용한 교육 봉사 활동이 자존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이는 수업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중요한 요 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 봉사활동 시간이 적절한 경우, 학생들 은 수업의 전반적인 만족도보다도 서비스 러닝 교수법이 적용된 교과목을 후배들에 게 추천하고 권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수업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 족한 학생들은 서비스 러닝 교수법의 확대 적용에 긍정적인 입장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600원
        2.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서울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의 「서울교육종단연구(SELS)」에 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고등학생 3학년인 9차(2018년) 자료에서 학 생 2,793명을 연구 대상자로 정하였다. 청소년의 학교만족도와 관련한 예측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SPSS 26.0을 사용하여 의사결정나무모형 분 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청소년의 학교만족도의 분 류에서 개인적인 요인으로는 성별, 자아개념, 자기평가, 사회적 관계 요 인으로 보호자, 학교교사, 학교 특성/문화 요인으로는 학교에 대한 평가, 학교풍토가 유의한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학교만족도 분류에 영향 을 주는 변인들 중에서는 학교에 대한 평가가 가장 영향력을 가진 변인 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교사 수치가 높은 집단에서는 학교풍토, 자아 개념이 분류의 중요한 의미 있는 변인이었고, 학교교사 수치가 낮은 집 단에서는 자기평가, 학교풍토, 학교에 대한 평가가 영향력 있는 변인이었 다. 넷째, 학교에 대한 평가 수준 및 학교풍토가 바람직하고 좋으면 학교 만족도가 긍정적으로 상승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청소 년의 학교만족도 증진을 위한 방안 모색, 교육정책 수립 및 프로그램 운 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6,900원
        3.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ttempts a comparison between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in which the importance weight is structured by individual subjective values and regression model with importance weight based on statistical theory in determining the importance weight of casual model. The casual model is designed by for students’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and SERVQUAL modeling methodology is applied to derive factors affecting students’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By comparison of importance weights for regression model and AHP,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are observed. 1) the lower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the factor, the higher the importance weight of AHP, 2) the importance weight of AHP has tendency to decrease as the standard deviation(or p-value) increases. degree of decreases. the second sampling is conducted to double-check the above observations. This study empirically checks that the importance weight of AHP has a relationship with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or p-value) of independence variables, but can not reveal how exactly the relationship i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with long-term perspective.
        4,000원
        4.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hile the term online shopping refers to all online transactions, cross-border online shopping means shopping activities purchasing products or services over the internet for the customers abroad. As Internet use for the international shopping activity increasing, cross border online shopping has grown substantially for last decade. This study is about the problem regarding the cross border online shopping for two different countries and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their shopping behavior. The cross border online shopping has been increased by the growth of Internet access. However, the growth of the Internet use does not guarantee a successful development of cross border e-commerce for every country. To find out the perception for cross-border online shopping for two different cultures, shoppers from two countries with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 were chosen, and the perception for cross-border online shopping from each culture is contrasted. For statistical Analysis, ANOVA is use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a single non-metric independent variable, and multiple metric dependent variables. Hofstede’s cultural dimensions model is adopted for this study as a tool to find out the patterns of cross border online shopping. This study showed what the variables would affect the perception in cross border online shopp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cross border online shoppers with different culture were notably different on two variables identified-timeliness and ease of use.
        4,000원
        5.
        2018.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조직문화와 풍토에 따른 교사의 교직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관계를 재조명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중집단 즉 남교사와 여교사의 성별에 따른 교직만족도의 차이가 교육행정과 교육심리 영역 중 어떠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학교의 조직 문화와 조직 풍토에 따른 교사효능감, 교사의 전문성 개발, 교사-학생간의 관계와 교직만족도 간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이에 따른 차이가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학교 조직문화와 풍토에 따른 교사효능감과 교사의 전문성 개발의 경우 남교사의 평균이 여교사의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고, 교사-학생관계의 경우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높은 평균을 보였으며, 이와 같은 집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학교 조직문화와 풍토에 따른 교사효능감, 교사의 전문성 개발, 그리고 교사-학생관계가 교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교사효능감의 경우 남교사와 여교사 모두 교직만족도에 미미하지만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와 달리 교사의 전문성 개발과 교사-학생관계의 경우 남교사의 표준화계수가 여교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각각의 변수가 교직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높은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에 비추어볼 때 다중집단에 따른 교사효능감이 교직만족도, 교사의 전문성개발, 교사-학생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와 유의미성에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직․간접적으로 교직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를 토대로, 정부나 일선학교현장에서 교사효능감과 관련한 바람직한 방향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로써의 역할을 수행하기를 기대한다.
        6,100원
        6.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sessing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is the essential part of service science. In this study, for G2B electronic commerce service composed of information systems and human resources, a composite research model for exploring factors of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is proposed. The proposed model uses SERVQUAL’s five quality dimensions as independent antecedent factors and usefulness and ease-of-use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s mediating factors. A case of a G2B purchase service is empirically studied using the proposed model. The result shows that the proposed composite model is good and appropriate for explaining the characteristics of G2B services.
        4,000원
        7.
        201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quality factors on value, satisfaction and loyalty in a wine training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Structural verification of the wine training program loyalty model showed that the quality of the wine training program positively affected both value (p<0.001) and satisfaction (p<0.001). Further, the value of the wine training program positively affected satisfaction (p<0.01), which in turn positively influenced loyalty (p<0.001). The quality of the wine training program was presented as solicitude for students, textbook and curriculum, qualification and confidence of lecturer and staff, and training quality, whereas the value of the program was composed of sense of belonging, promotion of self-esteem, good impression on others, and improvement of social status. Therefore, the wine training institute's intensive management of the quality and value of the program could induce students' loyalty by enhancing satisfaction for the wine training program.
        4,000원
        8.
        201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s a part of research to improve the recreation and tourism of Mt. Keumwon, this study undertook a visitor survey and investigated a structure model analysis to evaluate visitors’satisfaction of sightseeing. In socio-demographic background, the 60 percent of visitors was male, the 71.3% was 40s age and over, and the 80.7% was resident in Gyeongsang-do. A theoretical model with measurement was designed to explore and deduce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which was developed with hypotheses and data from 150 questionnaires collected in 2013. The results supported that display quality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more strongly compared to the influence of convenient use, convenient use h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influence on satisfaction, and also display quality has a very significant and positive influence on convenient use. The visitors tend to evaluate convenient use to be better as display quality increases.
        9.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nalyses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school meals program. To obtain the data, 54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Jeonbuk area were chosen for survey. A ordered probit model analysis is conducted to identify the key explanatory variable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of school meals abou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students. Also, a ordered probit model is used to calculate marginal effects of several key variables. The study finds that key factors that affect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school meals are rural area schools, elementary school’s students, and education for school meals or food nutrition. The satisfaction of school meals in urban and rural school’s studen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lso, the satisfaction of school meals abou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studen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To do this, importance of school meals is to build up the safe agricultural supply system. For safe agricultural supply system, local agricultural products provided in school meals should be supplied based on GAP, HACCP certificated companies such as US FTS(Farm to School) program.
        10.
        200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동계레져스포츠 참가자의 동계레져스포츠 참가자의 개인적 특성과 배경적 특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운동참가동기와 운동몰입경험 그리고 자기관리의 변인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시, 대전시, 경기도, 강원도, 충청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동계레져스포츠 참여자 79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의 표집을 위해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유효 표본으로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요인별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신뢰도분석(reliability)과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동계레져스포츠 참가자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인과모형의 적합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Amos Version 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성별에 따른 신체적인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스케이트종목과 미혼자 그리고 자영업에서 신체적인 만족의 정도가 높았으며, 휴식적인 만족은 스키종목에서 여성과 기혼자 그리고 50대이상의 전문직종사자가 높았으며, 남자는 스키종목을 통하여 사회활동만족을 가장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계레져스포츠 배경적 특성에서 연중 7회이상 스키장을 방문하는 4년~5년의 운동경력자가 높은 신체적인 만족을 느끼고 있었으며, 6년이상 운동경력으로 1박2일 동안 가족과 함께 다녀가는 집단에서 휴식적인 만족의 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중급이상의 스키실력으로 동료와 함께 동계레져스포츠에 참여하는 집단에서 사회활동 만족을 느끼고 있었다. 셋째, 동계레져스포츠 참가자의 생활만족도에 대한 인과모형 검증에서 초기에 설정된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높이기 위하여 고유행동관리의 변인을 제거하고 참여빈도관리 변인과 건강지향 변인을 공분산 처리하여 적합도 평가기준에 충족하는 연구모형을 제시하였으며, 자기관리요인과 몰입경험요인은 생활만족도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매개변인으로 판명되었다. 넷째, 동계레져스포츠 참가자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운동참가동기의 하위변인은 자기관리요인에 영향을 주고 있었으며, 운동몰입경험은 신체적인 만족과 휴식적인 만족 그리고 사회활동 만족에 직접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므로 운동몰입경험이 높아질수록 생활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