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의 목적은 전남도 교육감 선거의 결과에 주목하여 통계자료 분석과 후보자의 교육정책을 비교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은 후보자의 선거전략, 선거공약과 선거 득표 결과에 대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통계자료와 신문 기사의 보도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전남도 교 육감 선거의 공약에서 공통적인 교육정책은 사회 환경적 변화 속에서 미래 혁 신교육과 교육의 대전환을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남도 교육 감 선거 통계분석 결과, 선거인 수가 가장 많은 목포시에서 김대중 후보가 가장 많은 득표수의 차이를 보였는데 이러한 선거 결과는 후보의 선거전략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셋째, 전남도 교육감 선거는 전략적인 측면에서 김대중 후보는 동명이인의 강점 최대화, 민주당 지지 세력의 확보, 세대와 지역을 초월 한 조직력 강화, 그리고 장석웅 후보는 기존 지지기반과의 갈등, 인사 문제 등 으로 인한 조직의 재정비 시간 부족 등으로 제대로 된 조직력을 발휘할 수 없 었다. 넷째, 전남도 교육감 세 후보의 공약 내용을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세 후 보자 모두 진보성향의 후보로 정책공약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적으로 전남도 교육감 후보의 교육정책은 큰 틀에서 미래 교육, 혁신 교육을 통 한 핵심역량 강화, 교육 대전환 등을 제시하고 있지만, 당면 문제인 다문화 교 육정책 등 핵심 정책이 배제된 정책적 한계를 드러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by analyzing statistical data and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andidates' educational polic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honnam Provincial Superintendent of Education election.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mmon educational policies in the pledges for the Chonnam Provincial Superintendent of Education election were found to be seeking future innovative education and a major transformation of education amidst social and environmental changes. Second, in the results of the Chonnam Provincial Superintendent of Education election, candidate Kim Dae-jung had the larges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votes in Mokpo City, which had the largest number of voters. This election result can be seen as a result of differences in election strategies. Third, the Chonnam Provincial Superintendent of Education election showed a large difference in organizational power, with candidate Jang Seok-woong having a strategic strength and strengthening of organizational power, and conflicts in support base and personnel issues. Fourth, when looking at the pledges of the Chonnam Provincial Superintendent of Education, all of them were progressive candidates and did not show much difference in terms of policy pledges. In conclusion, the educational policy of the Chonnam Provincial Superintendent of Education candidate had policy limitations in that it excluded core policies such as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which is the most realistic iss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