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관상동맥 질환자의 재활 운동환경으로서 도심 인근 산림의 이용 사례와 효용성 KCI 등재

The Use of Urban Forest as Rehabilitative Exercise Environment for CAD Patients and Its Availabil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072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본 연구는 관상동맥 질환자의 심장 재활 운동환경으로서 도심 인근 산림의 이용과 효용성을 알 아보기 위해 심혈관 중재 시술(PCI)을 받은 관상동맥질환자 17명(남성 13명, 여성 4명)을 대상으로 서울 서대문구 소재 안산에서 12주간 산림 트래킹(약 6.5km)을 평균 3km/h 속도의 걷기 형태로 실시하였고, 사전 지형 분석을 통해 에너지 대사 당량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산림 트래킹을 통한 신체 구성, 혈당, 혈압, 총콜레스테롤 및 유산소 능력 등의 변화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MedCalc(version 23)를 활용 한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를 실시하였고(p<.05), 정규분포검증을 위해 D’Agostino-Pearson test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피검자는 평균 시속 2km에서 3km의 속도 범위(3.65METs – 4.85METs)에서 약 6.5km의 코스를 트래킹을 하는 동안 평균 여유심박수 56.8±11%의 운동 강도를 유지하였고, 12주 동안 트래킹 중 심각한 증상이나 징후는 없었다. 특히 프로그램 후 심혈관 위험인자 중 신체구성, 혈당, 혈압, 총 콜레스테롤과 유산소 지구력이 유의하게 개선된 것으로 미루어 보아 산림기반 심장 재활의 효용성을 입증 함으로 인해 원내 심장 재활의 제한점을 다소 해소할 수 있는 방안점을 고안하였으며, 이러한 실제적 적용 을 통해 현대인의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추가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availability of forest-based tracking as an alternative modality for the rehabilitative exercise in cardiac patients. The 17 CAD patients(13 males and 4 females) with PCI participated in 12-week program based on forest tracking at Ansan, the urban forest in Seoul. Prior to the program, terrain analysis of the Ansan forest was performed to estimate MET level. In this study, a paired t-test(p<.05) was conducted using MedCalc (version 23) to verify the effect of changes in body composition, blood sugar, blood pressure, total cholesterol, and aerobic capacity through forest tracking, and the D'Agostino-Pearson test was applied for normal distribution verifi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maintained an average free heart rate of 56.8±11% while tracking at a speed range of 2km/h to 3km/h (3.65METs – 4.85METs), and there were no serious symptoms or signs during about 6.5km tracking for 12 weeks. In particular, considering that the body composition, blood sugar, blood pressure, total cholesterol and aerobic endurance significantly improved among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fter the program, a plan was devised to somewhat resolve the limitations of in-hospital heart rehabilitation by proving the effectiveness of forest-based heart rehabilitation, and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develop additional specific programs to lead a healthy life for modern people through these practical applications.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연구 방법
    2.1. 연구대상
    2.2. 연구절차 및 방법
    2.3. 자료처리
3. 연구 결과 및 고찰
    3.1. 지형 분석 및 산림 운동 중 반응
    3.2. 관상동맥질환 위험인자 변화
4. 결 론
References
저자
  • 이종영(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 Lee Jong-Young (Professor, Division of Cardiology,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Kangbuk Samsung Hospital,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주기찬(웰니스아카데미, 박사) | Joo, Kee-Chan (PhD, Wellness Academy)
  • 최경수(중원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생활체육학과, 교수) | Choi Kyung-Su (Professor, Department of Sports for all, Social Culture Graduate School, Jungwo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