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아록 데데스』와 아록의 문학적 재구성 KCI 등재

The Representation of Arok in Arok Ded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4321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8,000원
한국과 국제사회 (Korea and Global Affairs)
한국정치사회연구소 (Korea Institute of Politics and Society)
초록

본 연구는 쁘라무디아의 역사소설 『아록 데데스』를 대상으로, 역사 속 실존 인물 껜 아록의 문학적 재구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작가가 전달 하고자 한 메시지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고대 싱아사리 왕국의 건국 자인 아록은 인도네시아 사회에서 부정적인 방식으로 권력을 획득한 인 물으로 간주되어 주로 비판적인 시각에서 조명되어 왔다. 반면, 쁘라무디 아는 아록의 사원이 다양한 종교 전통이 혼합된 거대한 무덤 형태이며 생전에 건립된 것이 아닌 사후 민중의 자발적 존경의 산물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아록 데데스』를 통해 아록을 사회적 불의에 맞서 정의와 통 합을 실현하는 이상적 지도자로 재구성하였다. 작품 속 아록은 종교와 학문에 대한 진지한 탐구를 통해 다원적 사회에서 포용과 화합을 이끄는 통합의 상징으로 묘사되며, 노예제 폐지를 통해 평등한 공동체를 지향하 는 인물로 그려진다. 이러한 아록의 문학적 재구성은 독립 이후 인도네 시아 사회에서 통합을 이끌 지도자의 부재에 대한 쁘라무디아의 비판적 문제의식과 맞닿아 있다. 즉 그는 아록 서사를 통해 다원성과 복합성을 지닌 사회에서 지도자가 갖추어야 할 핵심 자질이 포용성과 통합 능력임 을 강조하며, 인도네시아에 필요한 지도자의 조건을 환기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Arok Dedes, a historical novel by Pramoedya Ananta Toer. It focuses on the literary reconstruction of the historical figure Ken Arok and explores the core message that the author aims to convey through this portrayal. As the founder of the ancient Singasari kingdom, Arok has often been viewed critically in Indonesian society as a symbol of power usurpation. However, this analysis reveals that Pramoedya embodies Arok as an ideal leader who confronts social injustice and embodies the principles of justice and unity. Arok is portrayed as a symbol of integration in a pluralistic society. His abolition of slavery further underscores his commitment to an egalitarian community. This representation of Arok reflects the author’s critical awareness of the absence of unifying leadership in post-independence Indonesia. Through Arok Dedes , Pramoedya underscores the necessity of an embrace of diversity and integrative capacity as essential qualities of leadership in a pluralistic society, thereby highlighting the attributes vital to effective leadership in Indonesia.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II. 작가 소개
III. 선행 연구 및 역사소설에 대한 이론적 논의
    1. 선행 연구
    2. 역사소설에 대한 이론적 논의
IV. 역사 기록과 소설 『아록 데데스』
V. 『아록 데데스』에 나타난 아록의 문학적 재구성
    1. 뜨무에서 아록으로의 성장 서사
    2. 포용과 통합의 지도자 아록
VI.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이연(한국외국어대학교) | Lee Yeo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 이은경(한국외국어대학교) | Lee Eun Kyung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