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ransmission and Transformation of the Beopdong Beomcheongol Seokjangseung Ritual : A Study on the Modern Sustainability of Folk Beliefs Through Oral History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대덕구 법동 범천골 석장승제의 역사적 변천과 현대적 의미를 분석한다. 과거 석장승제는 마을 공동체의 결속을 강화하 는 중요한 의례였으나, 도시화와 택지조성사업으로 인해 그 공간적 의미 가 변화하고 지속 가능성이 위협받고 있다. 구술채록을 통해 석장승제의 준비 과정, 제의 절차, 경제적 부담 방식 등을 조사하고 기존 연구와 비 교 분석한 결과, 과거 공동 부담 방식에서 현대에는 자발적 후원과 지방 자치단체 지원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변화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석장 승의 위치 변경과 도시화로 인해 신앙적 기능이 약화되고 문화재적 의미 가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석장승제의 변천 과정을 실증적으로 분석 하여 전통 민속신앙의 현대적 지속 가능성을 논의하며, 향후 보존 및 활 용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transformation of the Seokjangseung Ritual in Beopdong Beomcheongol, Daejeon, South Korea. Once central to community cohesion, the ritual has been affected by urbanization, shifting from a spiritual practice to cultural heritage. Using oral history, this research analyzes its preparation, ceremonies, and financial changes, revealing a move from communal support to reliance on sponsorships and government aid. The relocation of stone poles and modernization have further diminished its religious role. This study contributes to discussions on sustaining folk traditions and highlights the need for preservation strategies and comparative cultural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