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대덕구 법동 범천골 석장승제의 역사적 변천과 현대적 의미를 분석한다. 과거 석장승제는 마을 공동체의 결속을 강화하 는 중요한 의례였으나, 도시화와 택지조성사업으로 인해 그 공간적 의미 가 변화하고 지속 가능성이 위협받고 있다. 구술채록을 통해 석장승제의 준비 과정, 제의 절차, 경제적 부담 방식 등을 조사하고 기존 연구와 비 교 분석한 결과, 과거 공동 부담 방식에서 현대에는 자발적 후원과 지방 자치단체 지원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변화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석장 승의 위치 변경과 도시화로 인해 신앙적 기능이 약화되고 문화재적 의미 가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석장승제의 변천 과정을 실증적으로 분석 하여 전통 민속신앙의 현대적 지속 가능성을 논의하며, 향후 보존 및 활 용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한국근현대무용사의 서술에 있어서 무용구술채록문의 활용을 위한 색인어 목록을 개발하는데 목 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해방 이후 한국 근현대 무용교육 및 무용창작’을 주제로 하는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예술정보관(現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자료원)의 2008년과 2009년 무용구술채록문 48편을 분석하였 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자료원의 무용채록문을 분석한 결과, 1945년 해방 직후로부터 한국무용의 형성기, 그리고 무용교육과 창작이 숙성되던 1980년대를 지나 2000년까지 한국의 근현대무용사 55년을 총망라 한 다양한 주제어가 제시되었다. ‘해방 이후 한국 근현대 무용교육 및 무용창작’의 무용구술채록문과 주제어들 은 한국근현대무용사의 자료 부족과 결락을 보완하고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 주제를 제시해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근현대무용사 서술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무용구술채록문의 상세목록을 한국무용사의 맥락에서 분석하고 색인어를 3단계로 추출하고 이를 목록화하였다. 이에 따라 1차 단계에서 주요 색인어를 15가지 대 항목으로 분류하고, 2차 단계에서 대항목과 연관되는 주제어를 중항목으로 도합 36건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3차 단계에서는 각 주제어와 연관된 용어 1,977건을 소항목으로 도출하였다. 본 연구가 제시하는 ‘해방 이후 한국 근현대 무용교육 및 무용창작’의 무용구술채록문 색인어 목록은 미시적 관점에서 한국근현대무용사와 관 련된 정보를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는 통로가 될 수 있다. 거시적 관점에서 이 목록은 한국근현대무용사에 관련된 연구, 교육, 문화콘텐츠 창작을 위한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을 위한 분류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